대구시 '스마트그리트' 1차 거점지구 선점 잰걸음

입력 2013-04-22 11:43:25

대구시가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거점지구를 지정받기 위해 잰걸음을 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국가 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목표로 2016년까지 순차적으로 거점지구를 정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다른 지자체보다 먼저 거점지구로 선정돼 스마트그리드 산업을 선점하겠다는 계획으로 지난해 초부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거점지구로 지정돼 전폭적인 국가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경제를 끌어올리고 올 10월 열리는 세계에너지총회와 연계해 '녹색 도시' 이미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스마트그리드는 무엇인가

이른바 '똑똑한 전기'로 불리는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Power Grid)에 정보통신(ICT)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전력망이다. 현재의 전력망은 공급자 중심의 일방향성을 가진 폐쇄형인데 반해 스마트그리드는 수요자 중심의 양방향을 갖추고 있어 에너지절약이 가능하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동하 대외협력처장은 "지금 전력망은 이달에 얼마만큼 전기를 사용했는지를 통보만 해주지만 스마트그리드가 구축되면 소비자가 최적의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따른 효과는 상당하다. 소비자로서는 실시간으로 전기 정보를 얻고 제어할 수 있어 전기요금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국가적으로는 전력 사용량을 분산시켜 최대전력 수요를 관리할 수 있다. 최근 전력수요 급증으로 블랙아웃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스마트그리드는 이를 효과적으로 막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또한 다양한 신성장 산업이 파생돼 많은 일자리가 생기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도 큰 몫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부의 '제1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16년까지 총 3조5천500억원(정부 1조7천500억원, 민간 1조8천억원)을 투자하고 경제기대효과 6조8천477억원, 신성장동력 창출효과 2조3천764억원 등 모두 9조6천701억원의 기대효과를 나타낸다. 정부는 ▷지능형 전력망(개방형 전력 플랫폼 구축) ▷지능형 소비자(원격 검침 및 에너지관리) ▷지능형 운송(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지능형 신재생(대규모 신재생 발전 단지 조성) ▷지능형 서비스(에너지정보 종합관제 등) 등 5개로 나눠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

스마트그리드 구축사업은 앞으로 수 십조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범국가적 사업이다. 특히 1차 거점지구 선정을 위한 관심이 뜨겁다. 정부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16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거점지구를 매년 단계별로 지정한다는 방침이다. 애초 7개 광역단위로 선정할 계획이었으나 좀 더 많은 지자체가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선정 대상지를 확대했다. 그만큼 지자체간 경쟁도 치열할 전망이다.

내년부터 당장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1차 거점지구로 3, 4개 지역이 선정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1차 거점지구 선정을 두고 제주와 광주-전남 컨소시엄, 부산 등과 각축을 벌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주는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가 조성돼 있다는 강점이 있고 광주-전남 컨소시엄은 전남 나주로 전력거래소가 이전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평가다. 부산은 바다를 끼고 있고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강점을 갖췄다는 평이다.

반면 대구시는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데다 우수한 IT산업 등을 강점으로 꼽고 있다. 대구시 녹색에너지과 김지채 과장은 "그린에너지가 대구의 광역선도산업으로 지정돼 있고 낙동강 인근에 태양광시설 설치와 에너지저장시스템 실증사업, LED사업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며 "스마트그리드의 핵심인 IT산업도 지역이 강하다"고 말했다.

시 차원의 강한 의지도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는 지난해 초부터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 선정을 위해 본격 준비에 들어갔다. 지난해 6월에는 시와 DGIST가 주축이 돼 관련 기관과 기업들이 참여하는 스마트그리드 기획위원회를 구성했고 DGIST에 정책연구용역을 의뢰, 일찍부터 선정을 위한 전략을 마련했다. 또한 5월 중순쯤 현대오토에버, LG CNS, 대성에너지 등 에너지 관련 대기업들과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한 협약도 준비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이달 말쯤 사업설명회를 여는 데 이어 5월 말 사업 공고를 내고 각 지자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10월에 1차 거점지구 예비사업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낙동 스마트그린시티 구상

대구시는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 선정에 맞춰 낙동강을 축으로 한 '낙동 스마트그린시티' 구축을 구상하고 있다.

이 계획은 ▷수요반응 중심 특성화 지구 ▷분산전원 중심 특성화 지구 ▷전기자동차 교통망 구축 ▷지역통합운영센터(ROC) 구축 ▷산업생태계 조성 등으로 요악할 수 있다. 수요반응 중심 특성화지구는 성서와 달성 등 산업단지와 대곡, 다사 등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수용가를 확보해 원격 검침과 에너지 관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분산전원 중심 특성화 지구는 대구테크노폴리스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시스템, 연료전지 등 분산발전원을 구축한다는 것.

전기자동차 교통망 구축은 성서와 현풍, 대곡, 수성, 신서 등을 축으로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를 갖추고 ROC 구축은 DGIST와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대구테크노파크 등 기반시설을 활용해 수요관리 및 전력통합거래,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등 스마트그리드와 관련한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관리한다는 구상이다. 산업생태계 조성은 기업 중심의 기술개발을 통해 이를 사업화해 스마트그리드 산업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