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원자력발전소 추진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보상, 이주, 생계 대책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군민'행정'한수원 사이의 대화창구 역할을 하는 보상대책위 구천식(62) 위원장을 만났다.
-천지원전 추진 상황은 어떤가.
"지금 현재 보상작업의 초기 단계인 토지현황 측량이 순조롭다. 하지만, 천지원자력발전소가 앞으로도 무리 없이 추진되려면 우선 원전 편입 예정지 영덕읍 석리'매정리'노물리 3곳 중 편입희망 민원이 있는 노물리 문제 해결이 가장 중요하다."
-편입 희망 노물리 주민들의 주장은 어떤 것인가.
"지도 상에 그어진 선 하나로 같은 동네에서 일부는 편입되고 일부는 편입되지 않는 것은 주민들 간에 질시와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다. 또한, 6만6천㎡ 정도의 미편입 지역에 사는 주민들이 더 많다. 원전 예정지 편입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원한다는데야…. "
-편입을 위한 주민들의 노력은.
"지난해 9월 원전 고시 발표 때 편입되지 못한 주민들이 군청을 방문해 편입을 건의하는 한편 노물리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한수원 측에도 강력한 원전부지 편입의사를 표시했다. 지난해 12월 초엔 주민들이 서울 한수원 본사까지 올라가 편입을 요구하는 집회를 벌이기도 했다. 올해 1월에는 김병목 군수가 한수원 사장을 만나 편입 예정부지의 확대를 강력하게 요구했다."
-한수원의 입장은 어떤 것인가.
"미편입 노물리의 사후 편입은 한수원으로부터도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지만, 세부적인 항목에서 이견을 보여 다시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한수원이 실시계획 승인까지 2년간 증'개축 등 개발행위 금지를 요구했고 노물리대책위 주민들은 아무런 보상 없이 2년 동안이나 재산권 행사를 제한받는 것은 부당하다고 맞선 것이다."
-대책위의 입장은 어떠한가.
"앞으로 갈등의 씨앗이 될 수도 있는 만큼 한수원이 좀 더 해결의지를 보였으면 한다. 이 때문에 15일 열린 보상대책위 회의에서도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어려운 문제지만 반드시 기존 편입 지역과 함께 가야 한다는 점에서는 의견을 같이했다. 또한, 8월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때 원전건설이 더 구체화 되면 한수원이나 행정이 더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 쉽게 풀릴 수도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영덕'김대호기자 dhki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