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3학년 학생과 학부모들은 고민이 많다. 일반고, 특성화고 외에 특목고, 마이스터고, 자율형사립고, 자율형공립고, 자율고, 중점학교 등 고교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어떤 고교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대학 진학의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들리는데 알고 있는 정보는 너무 부족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교마다 교육과정 운영이 제각각이어서 학생, 학부모가 세부적인 정보를 알고 학교를 선택하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같은 자사고라고 해도 교육과정이 달라 대학 진학 때 각기 다른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이는 정규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과후활동도 마찬가지다.
학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학교와 학생 본인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학생의 성향과 진학하려는 학교가 맞아야 학교생활이 순탄할 뿐 아니라 학교에서 학생이 원하는 진로에 맞게 교과와 비교과를 포함, 다양한 영역의 활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하게 해야 할 부분은 중학교 재학 기간 동안의 학생부를 바탕으로 학생의 교과, 비교과 영역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과 영역 중 어떤 과목에서 좋은 성취도를 보였는지, 비교과 영역에선 무슨 활동에 관심이 많았는지 따져봐야 한다. 가급적이면 학생의 성향이 인문계열인지 자연계열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계열을 결정하면 그에 맞춰 학교를 선택해야 한다. 학생의 진로가 자연계열이고 성적이 최상위권이라면 과학영재학교, 과학고를 우선 고려하고 그다음으로 과학중점학교, 자사고, 자공고 진학을 고민하자. 특히, 자연계열에 관심이 많은데 중학교 교과 성적이 상위권이 아닌 경우 과학중점학교는 과학고에 진학하는 만큼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인문계열 학생 가운데 영어 교과 성적이 우수한 경우는 외국어고나 국제고 진학에 관심을 가져 볼 필요가 있다. 이들 학교는 자사고, 자공고, 일반고에 비해 어학 학습 비중이 높고 해외 대학 진학을 위한 국제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방과후활동의 경우도 특화된 프로그램이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학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교과 성적만으로 진학을 결정하기보다는 학생의 특성을 잘 파악한 후 진학하려는 학교의 교육과정과 비교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고교 진학은 이제 단순히 상급 학교로의 진학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김기영 (사)지식플러스 교육연구소 연구실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