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장학회가 자진 사퇴한 최필립 전 이사장의 후임에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 인물로 알려진 김삼천 전 상청회 회장을 선임,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신임 이사장이 정수장학회 장학생 출신 인사들의 모임인 상청회 회장과 박 대통령이 이사장으로 재직한 한국문화재단의 감사를 지낸 경력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이 해법으로 제시된 상황에서 부적절한 인사로 비칠 수밖에 없다.
정수장학회는 5'16 군사 쿠데타 직후 김지태 씨가 부일장학회를 헌납해 만들어졌으며 헌납 과정의 강압성 여부와 관련, 장학회 자산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박 대통령이 이사장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측근 인사들이 이사회에 포진, 대선 과정에서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이 때문에 정수장학회를 공익적 성격의 장학회로 거듭나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 사회적 공감을 얻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최 전 이사장이 물러난 후 김 이사장이 선임됨으로써 정수장학회의 태생적 문제점을 풀기가 더 어려워졌다. 정치적 중립성을 지닌 이사장이 필요하고 이사진의 물갈이도 이뤄져야 하나 김 이사장으로 얼굴만 바꿔 그러한 해법과는 거리가 멀어졌다. 김 이사장은 박 대통령이 국회의원 시절 정치 후원금을 많이 냈으며 그가 몸담았던 상청회와 한국문화재단은 박 대통령의 외곽 조직이라는 의혹을 사기도 했다.
청와대는 정수장학회의 새 이사장 선임에 대해 대통령과 관계없으며 관여할 일도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 말이 맞는다면 정수장학회는 박 대통령에게 정치적 부담만 지게 하는 꼴이다. 정수장학회가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되는 한 국민의 따가운 시선에서 벗어날 수 없다. 정수장학회가 이사장 선임을 철회하고 스스로 환골탈태하거나 박 대통령이 나서서 정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