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에 통로 하나 없어…지역의원, 당정협의서 성토
20일 오전 8시 국회 귀빈식당. 주호영 새누리당 대구시당위원장이 전날인 19일, 대구 지역 의원들과 대구시 간부들을 '긴급 소집'해 당정협의회를 열었다.
21일부터 박근혜 대통령이 산업자원부를 시작으로 각 부처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기로 한 것이 뒤늦게 알려졌기 때문이다. 대통령 첫 업무보고에는 보통 대통령 공약 사항 이행 방안이 포함된다. 지역 공약이 업무보고에 얼마나 반영됐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한구 원내대표, 유승민 국회 국방위원장은 업무차, 류성걸 의원은 지역구에서 의정보고회가 있어 불참했다.
자리는 무거웠고, 공기는 유쾌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 탄생의 일등공신 지역이라 자화자찬하던 때가 부끄럽게도 새 정부 인사(人事)에서 '역차별' 희생 지역이 된 데 따른 문제가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다.
채용호 대구시 기획관리실장은 "BH(청와대)의 업무보고 일정이 워낙 대외비로 돼 있고, 정부조직 개편도 진행 과정에 있기 때문에 각 부처를 통해 업무보고 일정을 모을 수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인수위 때부터 시작된 '함구령'은 여전히 새 정부에서 시행 중이었다. 부처 업무보고라는 공식 일정까지 '보안 중'인 것이다. 채 실장은 "지역 공약 반영을 위해 몇 차례 청와대와 부처를 방문했는데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제한돼 어려움이 있다"고도 했다. 묻고 싶어도 물을 수 있는 사람이 요직이나 길목에 없기 때문이다.
대구시가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해 각 실'국별로 태스크포스(TF)를 구축, 현재까지 50여 건의 프로젝트를 찾아낸 사실이 이날 알려지면서 성토가 나왔다. 준비가 늦은 것 아니냐는 지적과, 왜 의원들과 이야기를 나누지 않았느냐는 불통 문제를 비판한 것이다.
"TF가 구성돼 있는데도 (우리는) 누군지도 모릅니다. 시가 각각에 대한 책임자가 누군지 알려주세요." 권은희 의원의 지적이었다.
대구시 경제통상국장 출신인 김상훈 의원은 '일을 벌리면 하나라도 걸리겠지'하는 대구시의 '요행 전략'을 버리라고 지적했다. 그는 "인수위가 지역 현안을 좀처럼 다루지 않았는데 (시가) 범위를 너무 넓게 잡으면 곤란하다"고 했다.
서상기 정보위원장과 조원진 당 전략기획본부장은 대구의 신성장동력이 될 '교육국제화 특구' 추진이 빠진 것을 지적했다. 지난 대선 때 지역에서 건의한 공약, 대통령 핵심 공약, 인수위가 밝힌 140대 핵심과제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대구시의 발굴 프로젝트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각 공약별 추진 전략을 세우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주 위원장은 "대구시가 숙제를 뽑아 던져주지 말고 프로젝트 선정 과정에서부터 왜 선정했는지와, 우리 의원들이 생각하는 좋은 아이템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고 했다. 그동안 대구시와 지역 의원들이 어떻게 일을 처리해 왔는지 가늠할 수 있는 발언이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