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 재테크] 헤지펀드 상품

입력 2012-10-18 14:17:39

최근 우리나라 국민의 투자성향은 확정금리만 선호하여 정기예금만 고집하던 스타일에서 벗어나 펀드라는 간접투자상품이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투자상품에도 거부감이 없을 정도다. 특히 한 상품에 집중하던 투자방식에서 자산배분을 통한 포트폴리오 투자를 하는 등 투자수익률뿐 아니라 위험관리도 투자라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또한, 수익률의 결정요소 중 종목 선택이나 마켓 타이밍보다 자산배분이 제일 큰 비중으로 나타나 자산배분의 중요성도 일깨워 준다. 자산배분이란 보유 중인 자산이나 투자할 자금을 다양한 자산별로 투자할 비중을 결정하는 것이다. 즉, 위험과 기대수익률이 서로 다른 자산을 대상으로 분산 투자하는 것이다.

우리는 투자자산 대상으로 전통적인 주식, 채권, 부동산, 현금자산 등을 알고 있다. 이런 자산의 대체투자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는 자산이 바로 '헤지펀드' 상품이다. 헤지(hedge)의 사전적 의미는 울타리, (금전적 손해) 대비책 등의 뜻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헤지펀드는 위험을 막는 대비책의 개념보다 투자대상을 가리지 않는 위험도가 높은 펀드로 인식하고 있다.

헤지펀드의 기본적인 운용전략은 헤지 기능이다. 헤지펀드는 주식형과 채권형의 중간적인 성격이 강하다. 주식형의 고위험성과 채권형의 저수익률을 보완할 수 있는 자산군으로 최근 사모 형태로 개인도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헤지펀드는 시장의 변동성(위험)과 무관하게 절대 수익을 추구하거나 이미 투자하고 있는 자산과 낮은 상관관계로 위험을 분산하고자 할 때 가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헤지펀드에 가입하려면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헤지펀드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위험분산을 통한 절대 수익이 목표다. 둘째, 운용전략을 알 수 없어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지만, 최근 당국이 지도와 지침을 강화하고 있어 투명성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셋째, 고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라는 인식 때문에 단기투자에 목표를 두어서는 안 된다. 상관계수가 낮은 자산배분으로 절대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단기간보다는 장기투자에 적합한 상품이다. 넷째, 혹시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라서 원본 손실 위험이 없다는 인식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헤지펀드도 손실을 볼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다섯째, 헤지펀드 수익률은 시장이 강세 상승장일 때 액티브한 주식형 펀드보다 수익률 상승폭은 작지만 하락장에서는 주식형 펀드보다 하락폭이 크지 않은 특징이 있다.

또한, 각종 자료를 종합해 보면 헤지펀드는 국내주식시장, 이머징 주식시장, 원자재 시장 등과 비교하면 변동성이 낮고 비교적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펀드 운용은 다양한 투자전략으로 운용되고 있으므로 상품을 선택할 때 꼭 전문가와 상담해서 결정해야 한다.

도움말'김정오 NH농협은행 대구PB센터 팀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