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맛있게 먹기] 갈등

입력 2012-10-11 14:08:16

연극은 갈등을 보여주고 해결과정을 예술적으로 표현

'갈등'은 두 가지 이상의 감정 혹은 의지가 동시에 일어나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태의 감정이다. 연극에서는 인물과 인물, 인물과 사회, 인물과 운명 등 둘 사이에서 일어나는 대립이나 충돌 등을 말하는데, 이것은 앞서 말한 '장애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물, 제도, 사랑, 신념 등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 장애물과 부딪쳐서 생겨나는 감정, 혹은 그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두고 생겨나는 감정 등이 모두 갈등이다. 그러니 갈등은 장애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결국 장애물과 갈등은 분리해서 생각하기 힘든 개념이 되는 셈이다.

연극을 보면 어쩔 수 없이 만나게 되는 것이 갈등이다. '극'이라고 하는 것, '극적'이라고 말하는 것, 즉 '드라마틱'이라고 하는 말에는 필연적으로 갈등이 관련되어 있다. 장애물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고 그 갈등이 아주 아슬아슬하게 해결이 될 때 극적인 해결이라고 말하는 것은 모두 극과 갈등이 연극의 핵심이기 때문이며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이 연극을 보는 것은 어쩌면 갈등을 보기 위해서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점들 때문이다.

물론 단순히 갈등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그 갈등의 해소과정과 그 결과를 보는 것이긴 하다.

어쨌든 갈등을 빼고 연극을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연극을 보면 어쩔 수 없이 갈등을 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 갈등이 어떻게 해결될 것인가 하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극을 끝까지 보아야 한다. 갈등을 만드는 방법도 다양하지만 그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들은 어쩔 수 없이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떤 방법으로든 그 갈등은 해결이 나게 되어 있고 그 방법에 따라 관객의 만족도 또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이 꼭 해피엔딩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관객의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관객은 연극이 텔레비전 드라마와는 달리 뭔가 예술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갈등이 강한 작품은 관객의 흥미를 유발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관객의 몰입도 또한 높이기 쉽다. 그래서 극작가는 갈등의 강도가 점점 더 높은 작품을 쓰기 시작했고 관객들은 그러한 경향에 익숙해져 갔다. 이제는 관객이 먼저 갈등이 강한 작품을 원하기 시작했다. 웬만한 갈등으로는 관객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된 것이다. 어쩌면 이런 경향이 오늘날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를 흔히 말하는 '막장 드라마'로 만들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조금 더 센 갈등을 위해 개연성이 약하지만 흥미를 유발하는 억지스런 설정을 하게 되고 그것은 이제 하나의 일관된 유형으로 정립되기에 이르렀다. 출생의 비밀, 원수 집안, 갑작스러운 사고 등 막장 드라마의 필수요소를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렇다면 갈등이 없는 연극은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이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을 수 있다. 별다른 갈등이 없어도 좋은 연극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견과 연극의 핵심은 갈등이기 때문에 갈등이 없는 좋은 연극은 불가능하다는 의견까지 그야말로 논쟁거리가 될 만한 다양한 이야기가 나올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눈에 보이는 갈등과 보이지 않는 갈등, 사람마다 생각하는 갈등의 중요도와 느끼는 심각성의 정도 차이 등에 있다. 이는 마치 음식의 맛을 절대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것과 같다.

갈등의 정도는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평가기준이기 때문에 이를 객관적으로 계량화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누군가는 어떤 연극을 보고 갈등이 없는 작품이라고 말하고 다른 누군가는 내면의 갈등을 잘 묘사하고 있는 갈등이 강한 작품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보느냐, 어떻게 보여주느냐, 어떤 사람들이 보느냐, 어떤 상황에서 보느냐에 따라 똑같은 작품도 완전히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갈등을 해석하는 차이가 아니라 갈등을 느끼는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극 속의 갈등을 통해 자신의 심리상태를 파악해보는 재미를 느낄 수도 있다.

안희철(극작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