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당 기반없이 국정 운영 어려워" 安 "무소속 대통령 여야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임박해 온 후보단일화 협상에 앞서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충돌 지점은 문 후보의 '정당 후보론'과 안 후보의 '무소속 대통령론'이다.
더불어 민주당 인사들의 잇따른 안 후보 캠프행이 양측의 갈등에 기름을 붓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여기에 두 후보의 연대(대통령-책임총리)를 전제로 한 '공동 정부론'도 떠오르고 있다.
문 후보와 민주당 측은 무소속 대통령으론 정상적인 국정운영이 어렵다며 안 후보를 압박하고 있다. 포문은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열었다.
이 대표는 9일 라디오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무소속 대통령의 국정 운영은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안 후보를 정면으로 겨냥했다.
그는 "전 세계의 민주국가에서 무소속으로 대통령에 당선돼 국가를 경영한 사례는 단 한 나라도 없다"고 안 후보를 직접 겨냥했다.
이 대표가 포문을 열자 문 후보가 힘을 보탰다. 문 후보는 10일 전북도당에서 가진 핵심 당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정당 기반 없이 국정을 이끌기는 어렵다"며 "민주당 후보로의 단일화만이 대선 승리를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문 캠프의 이목희 기획본부장 역시 "문 후보는 국정운영 경험과 민주당이라는 세력의 뒷받침이 안 후보에 비해 우위에 있다"고 덧붙였다.
문 후보와 민주당의 압박에 안 후보는 '여소야대' 대통령이 더 위험하다며 정면돌파로 맞서고 있다.
무소속 대통령도 충분히 국정을 운영할 수 있다며 새로운 정치 모델을 선보이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10일 대전을 방문한 안 후보는 "지금 상태에서 만약에 여당이(에서) 대통령이 되면 밀어붙이기로 세월이 지날 것 같고, 야당이 (대통령에) 당선이 되면 여소야대로 임기 내내 시끄러울 것"이라며 "그럴 바에는 무소속 대통령이 국회를 존중하고 양쪽을 설득해 나가면서 가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정당이 없으면 직접민주주의는 불가능하다. 정당이 민주주의를 끌고 가야 한다는 것은 (나의) 기본 믿음인데 민의를 대변하지 않는 정당이 있으니, 기존 정당이라도 민의를 대변하도록, 개혁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제 역할이 아닌가 싶다"고 말하며 민주당에 견제구를 던지기도 했다.
양측의 신경전은 민주당 인사들의 안 후보 캠프행이 이어지면서 더욱 고조되고 있다.
민주당은 박선숙 전 사무총장에 이어 9일 현직 국회의원인 송호창 의원이 탈당 후 안철수 캠프행을 선택하자 강한 불쾌감을 나타내며 후속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집안단속에 나섰다. 문 후보 선대위의 진성준 대변인은 "송 의원의 고민을 이해한다고 해도 정치도의에는 어긋나는 일"이라며 "그런 방식으로 새로운 정치가 가능하지도 않다. 유감이다"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양측의 힘겨루기가 지속되자 야권 일부에선 타협책으로 공동정부론이 떠오르고 있다.
양측이 양보 없이 대선을 치를 경우 필패할 것이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연대를 해야 하고 현실적으로 두 후보가 대통령과 책임 총리를 맡는 방법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공동정부론의 경우 '담합'으로 비칠 경우 후폭풍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조심에 조심을 거듭하고 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