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발생한 구미 불산 누출사고 피해지역에 대해 정부가 비록 늦었지만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등 정부차원의 대책을 이끌어 낸 것은 본지를 비롯한 지역언론의 힘이 컸다.
당초 이 사고는 지방자치단체의 능력으로는 수습하기 어려울 만큼 대형 재해였다. 사고 발생 초기만 해도 수도권언론은 사고 소식을 그렇게 크게 취급하지 않았고, 정부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본지 등은 2차 피해 확산과 당국의 초기 대응 미흡 등을 연일 심층보도했고, 이에 수도권언론들도 차츰 뉴스 비중을 높여가기 시작했다.
이런 끝에 국회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정부 역시 사고 발생 8일 만에 합동조사단을 파견했다.
9일엔 이명박 대통령이 구미 불산 누출사고와 관련, 초기에 주민 대피령을 일찍 해제하고 초기대응이 미흡했던 경위 등을 밝혀 책임소재를 분명할 것과 법적'제도적 위험물질 관리를 위한 보완조치를 전반적으로 점검할 것 등을 지시했다.
본지는 사고발생 초기부터 개인 기업체에서 발생한데다 사고 규모가 커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선 사고 수습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 정부 차원의 대책을 이끌어 내야 한다는데 기사의 초점을 맞췄다.
사고 대응 및 수습 등 문제점 중심으로 보도가 이뤄지면서 서운함을 느끼는 기관들도 있었다. 자신들의 피땀은 한꺼번에 묻혀 버렸다는 불만의 소리가 높았던 것이다.
실제 남유진 구미시장을 비롯한 구미시청 공무원들과 소방서, 경찰 등은 추석 연휴도 잊은 채 불산 2차 피해의 위험 속에서 방제작업에 나서는 등 몸을 사리지 않았고, 지금도 상당수가 육체적인 2차 피해를 겪고 있다. 어쩌면 이런 피땀들이 쌓여 정부 차원의 대책을 이끌어 냈을 수도 있다.
불산사고 수습 및 대책 마련은 이제부터다. 향후 주민 건강검진 및 후유증 치료, 휴농 등에 대한 종합적 보상은 물론 유독물 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