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도주·상습절도와 경합범, 강도상해 적용여부가 관건
대구 동부경찰서 유치장 탈주범 최갑복(51) 씨에게 몇 년 형이 선고될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 씨는 강도상해 혐의로 구속된 뒤 경찰서 유치장에서 탈주하고 도주 과정에서 절도 행각까지 벌인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최 씨 입장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는 최소 징역 7년 이상으로, 강도상해와 탈주 및 상습절도 등 혐의가 모두 인정돼 각각의 법정형을 원칙적으로 적용받을 경우다.
강도상해의 법정형(무기징역 배제)은 7~30년이다. 여기에 특수 도주(7년 이하), 상습절도(3년 이상) 혐의가 추가되고, 경합범(여러 개의 범죄) 가중 처벌까지 적용받게 되면 상한선이 45년으로 늘어난다.
물론 감경 요소가 적용되면 절반인 징역 3년 6개월~22년 6개월로 줄 수도 있다. '몇 년 이상' 형의 경우 통상 상한보다는 하한이 중요하기 때문에 징역 7년 이상(감경 시 3년 6개월 이상)이 유력해진다.
그런데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 탈주했다는 최 씨의 주장이 받아들여 진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먼저 최 씨의 주장대로 강도를 하러 간 게 아니라 골프채를 들고 '겁을 주러 간 것'이라면 폭력 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폭처법) 상의 주거침입이나 협박(미수)이 돼 법정형이 징역 1년 이상(30년 이하)으로 확 줄어든다.
도주 혐의도 특수도주가 아닌 도주로 인정되면 형이 '1년 이하'로 내려간다. 유치장 창살 등 수용 설비나 기구 훼손 여부에 따라 특수도주냐 도주냐가 결정된다.
절도도 마찬가지다. 경찰은 최 씨가 도주 과정에서 옷과 승용차, 흉기 등을 훔쳤다며 상습절도 혐의를 적용했지만 '상습'은 '틈만 나면 훔칠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습'이 인정될지는 미지수다.
2006년 이후 별다른 절도 전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최 씨가 도주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몇 건의 절도 행각을 벌인 것으로 받아들여질 경우 그냥 절도가 돼 '3년 이상 징역'이 '6년 이하 징역'으로 바뀌게 된다. 물론 절도 시간이 야간이었다면 야간 주거침입(징역 10년 이하)이 돼 셈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모든 정황이 최 씨에게 유리하게 적용되면 최저 징역 1년 이상이 된다. 강도상해 혐의는 벗고 상습절도가 인정된다면 3년 이상 징역형, 최악의 경우는 징역 7년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의 한 판사는 "강도상해 적용 여부가 최대 관건으로, 징역 하한이 1년 이상이냐 7년 이상이냐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