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나는
아지랑이 따라
들판 끝까지
달려가 보곤 했었다.
종달새가
하늘 끝으로
가뭇가뭇 사라질 때까지,
망아지 한 마리 되어
달려가곤 했었다.
너무 멀리까지 간 내가
저물 녘,
노을 속에서 길을 잃고,
저녁 별 하나 둘 떠오르면
그 별들 중의 어떤 것이
손을 잡아 주었다.
어릴 때 나는
망아지 한 마리 되어
멀리 가곤 했었다.
----------------
서정적인 시는 대상과 자아의 일체감을 기본적인 정서로 삼고 있습니다. 대상과 자신이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부분에서인가 하나로 이어져 있다는 생각, 그것을 '서정성'(서정적 동일성)이라고 부릅니다.
이 시에서 길 잃은 아이와 그 아이의 손을 잡아준 별의 관계가 서정성의 좋은 예입니다. 이런 정서는 시적 과장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연대가 사라진 우리 시대가 다시 찾아야 할 느낌입니다. 합리성이나 과학성이 놓쳐 버린, 시에 겨우 남아 있는 이 느낌이 메마른 이 세계를 구원할지 모릅니다.
시인·경북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