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와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 간의 '경제민주화' 논쟁은 한마디로 수준 이하다. 상대방에 대한 인신공격성 수사(修辭)를 봐도 그렇고 성장과 복지를 조화가 불가능한 상호 배제적 개념으로 보는 아집을 봐도 그렇다. 이 때문에 국민은 박근혜 대선 후보가 얘기하는 '경제민주화'가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두 차례에 걸친 두 사람의 논쟁을 종합하면 이 원내대표는 '기업 활력 증진과 성장'에, 김 위원장은 '재벌 개혁과 복지'에 각각 무게 중심을 두고 있는 듯하다. 이렇게 출발부터 다르니 '경제민주화'에 대한 태도도 대척점에 설 수밖에 없다. 이 원내대표는 경제민주화를 '정체불명' '포퓰리즘'이라고 공격하고 김 위원장은 이런 이 원내대표를 '상식 이하'라고 되받았다.
그러나 이는 하나만 보고 둘은 보지 못하는 단견이다. 우리 경제에서 성장과 복지, 기업 활력과 재벌 개혁은 모두 놓칠 수 없는 과제다. 성장에 치중한 경제개발 전략 때문에 심화된 양극화의 해소를 위해서는 복지 확대가 필요하다. 그러나 복지를 위해서는 그 재원을 만들어 낼 성장이 필수적이다. 성장이나 복지냐는 단세포적 논쟁이 아니라 두 과제의 조화를 고민하는 발전적 토의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아울러 논쟁을 하되 절제된 언사를 구사해야 한다. 여론조사를 보면 국민의 80%가 경제민주화를 바라고 있다. 이를 여당 원내대표가 '정체불명'이라고 한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김 위원장이 이 원내대표를 '상식 이하' '정서적 불구자' 같은 언사로 공격한 것도 적절치 않다. 논쟁은 주제를 놓고 치열하게 벌여야지 상대방에 대한 인신공격으로 흘러서는 안 된다. 그런 언사는 논쟁의 격을 떨어뜨려 국민의 관심을 멀어지게 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