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280억대 국책사업 의혹…수사 5개월째 답보 說만 무성

입력 2012-07-20 10:44:42

"선정업체 책 잡아 재입찰로…" 탈락업체들 몽니 또 '진흙탕'

280억원 규모의 문경시 국책사업 시공업체 선정비리 의혹에 대한 경찰 수사가 5개월째 답보상태에 있는 가운데 수사 배경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문경시는 올해 1월 20일 녹색문화상생벨트 시공업체를 선정해 발표했다.

하지만, 시공업체 선정 과정에 대한 잡음이 일자, 경북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지난 3월부터 시공업체 선정 과정에서 심사위원 명단이 유출된 것으로 보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7일 선정업체 서울사무소와 같은 달 14일 전 문경 부시장의 서울 자택 및 문경시청 사무실을 각각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지난달 말 수사를 마무리 짓고 이달 3일 검찰에 사건을 송치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재지휘를 받아 보강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5개월 동안 선정업체와 문경시 관계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포함해 통화기록, 법인카드 및 계좌 내역 등에 대해 강도 높은 수사를 벌여왔지만 대가성 금품수수 등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밝혀내지 못한 상태다. 경찰은 현재 선정업체가 입찰 심사위원들과 여러 차례 통화했다는 단서만을 바탕으로 보강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심사위원 선정을 맡은 대구경북디자인센터 관계자는 "이번 수사는 입찰에서 탈락한 업체의 제보나 진정으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탈락한 업체들이 올해 1월 시공업체 선정 심사를 앞두고 부탁을 해왔다. 중앙부처 및 대구시 관계자도 '방송사 간부의 부탁'이라며 지금은 탈락한 업체가 낙찰받도록 심사위원들을 설득해 달라고 부탁해왔다"고 주장했다. 특히 "탈락한 S업체와 O업체 측은 자신들이 작성한 심사위원 명단을 반영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수억원대의 금품을 제공할 것을 제의했다"고 전했다.

실제 업계의 오랜 관행이기도 한 심사위원 로비전이 당시 입찰을 두고서도 치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시시설 관련 업체들은 심사위원의 평가로 낙찰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누가 인맥을 최대한 활용해 로비를 더 잘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녹색문화상생벨트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일부 업체는 방송사 자회사들과 함께 사업에 참여하겠다고 입찰제안서를 넣었지만 모두 탈락했다.

전시시공업계는 이번 선정업체의 비리 의혹이 확인돼 계약이 취소되면 탈락업체들이 재입찰을 통해 다시 한 번 280억원 공사에 기회를 갖게 된다는 유혹 때문에 업체들 간 진흙탕 싸움이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문경시의 의뢰를 받아 심사위원 선정을 맡았던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정용빈 원장은 "이번 입찰에 참가한 대부분 업체가 직간접적인 청탁을 해왔으나 모두 거절했다. 낙찰업체로부터도 어떠한 금품수수나 대가성 있는 청탁을 주고받은 바 없다"며 "30명의 심사위원 명단을 작성하면서 가능하면 이러한(금품 제의) 업체들의 청탁이 통하지 않는 소신 있는 교수들을 추천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문경'고도현기자 dory@msnet.co.kr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