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주자들 교육 정책 쏟아내
대한민국에서 교육은 온 국민의 관심사다. 입시 제도의 변화, 무상 급식, 학교 폭력사태 등은 정치권의 최대 민생 현안으로 꼽힌다. 당연히 대선 주자들도 공약 차별화에 애를 쓰고 있다.
여야의 대권 후보들은 17일 교육 문제에 대한 정책을 경쟁적으로 쏟아냈다. 고교 무상 교육과 학력'학벌 차별 철폐, 대학 서열화 완화 등이 공통된 골자였다. 하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인해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날 '교육도시' 대구를 찾은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경선 후보는 동구 안일초교에서 '4대 실천과제'와 '즐겁고 행복한 교육만들기 8대 약속'을 발표했다. 그는 대학 입시와 관련, "3천여 개에 달하는 대입 전형의 수를 대폭 단순화하겠다"며 "수시전형에서도 수능등급 자격요건을 두지 않도록 대학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또 "재미있고 친절한 이야기형 교과서를 개발해 교과서만으로도 학교의 기본 교육이 완성되는 체제를 구축하겠다"며 "수능과 논술시험을 교과서 중심으로 출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교육비에 대해선 "고교 무상'의무교육을 위해 교육기본법을 개정하겠다"며 "저소득층 학생에게는 대학등록금이 실질적으로 무료가 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고교 무상교육'이 새누리당의 대선 공약으로 등장한 것은 처음이다. 박 후보는 이와 함께 ▷소득과 연계한 맞춤형 등록금 지원 ▷학자금 이자의 실질적 제로화 ▷지방대학의 권역별 특성화 ▷취업용 직무능력평가제 도입 등도 내걸었다.
민주통합당 대선 주자들도 교육 관련 정책을 내놓으며 표심 잡기에 주력했다. 제주를 방문한 문재인 상임고문은 지역 대학 대표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입사서류에 출신학교를 기재하지 않게 하는 '블라인드 채용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손학규 상임고문은 국회도서관에서 교육 정책을 주제로 연 정책발표회에서 ▷자사고'특목고 폐지 및 일반고 전환 ▷일제고사 폐지 ▷고교 무상교육 시행 ▷대학 서열화 완화 등을 '학생들을 위한 저녁이 있는 삶'의 방안으로 제시했다.
정세균 상임고문은 서울공고를 방문한 자리에서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중산층으로 진입할 수 있는 시대를 만들겠다"며 공공 부문의 고졸쿼터제 도입 등을 약속했다.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 역시 정부 예산 8천억원을 확보해 지방 국'공립대에 한해 우선적으로 반값 등록금을 추진하고 외국어고'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