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스러운 나무…명 황제 묘역에서 가져와
의성군 금성산 남쪽 나지막한 구릉에 영천 이씨 감사공파 집성촌인 산운마을이 있다.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학동(鶴洞) 이광준(李光俊'1531~1609)이 개척한 곳이다.
공은 1561년(명종 16) 문과에 급제, 성균관 학유 등을 거쳐 1592년(선조 25) 강릉부사가 되었다. 부임 초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많은 적의 목을 베고 또는 사로잡았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통정대부(정3품 당상관)로 올려 주었다. 1603년(선조 36) 형조참의를 거쳐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하고 더 이상 벼슬에 뜻이 없어 낙향하였다. 저서로 '학동일고'가 있다.
두 아들 또한 훌륭했으니 형 경정(敬亭) 이민성(李民宬)은 1597년(선조 30)에, 아우 자암(紫巖) 이민환은 1600년(선조 33) 문과에 급제했다. 경정은 승문원정자를 거쳐 1602년(선조 35)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09년(광해군 1) 옥당(玉堂)에 뽑혔다. 그러나 아버지상을 당하여 귀향 여묘(廬墓) 3년을 마치고 교리'세자시강원겸문학 등을 역임했다. 인목왕후를 폐비시키려고 할 때 이를 반대하다가 벼슬을 잃고 고향에 내려와 10여 년을 글씨와 그림으로 소일했다.
인조반정 후 사헌부장령에 복직했다.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가서 인조반정의 정당성을 잘 이해시킨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고 전답과 노비를 하사받았다. 그 뒤 동부승지를 거쳐 좌승지에 승진되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경상좌도 의병대장이 되어 전주까지 진출, 왕세자를 보호하였다.
1629년(인조 7) 형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직, 그해 죽었다. 직언을 잘했으며, 의리에 강했다. 시문과 글씨에 뛰어나 명나라에 갔을 때 그곳의 학사들이 이태백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시가 1천여 수에 이르며 장대서원(藏待書院)에 제향되고 저서로 '경정집' '조천록'(朝天錄) 등이 있다.
아우 자암은 1603년(선조 36) 평안도 암행어사를 역임했고, 이괄의 난과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영남호소사 장현광의 종사관이 되어 출전했다. 난이 끝난 뒤 동래부사로 나가 선정을 펼치고 그 뒤 호조참의 형조참판에 임명되었다가 1645년(인조 23) 경주부윤으로 나갔다. 저서로 '건주견문록' '자암집'이 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충간(忠簡)이라는 시호도 받았다.
산운마을은 이들 삼부자가 기반을 굳혔다고 할 수 있다. 그후 학동의 7대손 운곡 이희발(李羲發'1768∼1849)이 세를 더욱 확장했다. 1795년(정조 19) 문과에 급제한 뒤 규장각의 초계문신(抄啓文臣'정조가 인재 양성을 위해 선발한 신하)에 발탁되었으며, 순조 때 대사간, 헌종 초기에 승지가 되었다. 1847년(헌종 13) 병조참판으로 국방태세를 잘 확립하여 1849년(헌종 15) 형조판서로 승진, 한 나라의 군정을 바로잡는 중책을 맡았으나 곧 병이 들어 물러났다. 시호는 희정(僖靖)이다.
현존하는 40여 채 고택 중 소우당(素宇堂'중요민속자료 제237호)은 정원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소우(素宇) 이가발(李家發)이 19세기 초에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안채는 1880년대 죽파 이장섭(李章燮)이 고쳐 지었다.
간결하고 소박한 형태로 지어진 영남지방 사대부의 상류주택으로, 담장 안에 조성한 정원과 별당은 당시 풍류와 운치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특히 연못은 비록 규모는 작지만 조선시대 전통 조경기법인 못을 네모나게 만들고 그 가운데 둥근 인공 섬을 만드는 천원지방사상(天圓地方思想'땅은 네모나고 하늘은 둥글다는 사상)을 도입한 것과 달리 어느 지점에서 보아도 끝이 보이지 않는 경주 안압지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 점이 특이하다. 죽파는 1888년(고종 25) 문과에 급제 교리를 지냈다.
그러나 정원이 지금 모습으로 완성된 것은 대한제국시대 학자이자 서예가,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던 이홍(李鴻)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소나무 등 수십 종의 정원수 중에서 측백나무가 그에 의해 마지막으로 심어졌기 때문이다. 측백나무는 지금은 흔한 나무지만 당시만 해도 매우 희귀했다.
중국에서는 공자(孔子)묘를 비롯해 황제의 능에 심는 성수(聖樹)로 알려져 있다. 이홍이 중국에 갔을 때 명나라 황제 묘역에서 어린 나무 2그루를 가져와 심은 것이라고 한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을 그때 탐나는 물건이 많았을 터인데도 굳이 측백나무를 선택한 까닭은 알 수 없지만 그의 고아한 취미에서 비롯된 일이 아닌가 한다.
귀한 나무였던 만큼 일화도 많아 한방에서는 씨를 백자인(柏子仁)이라 하여 정신을 안정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나무다. 그런데 '껍질이 부인병에 특효가 있다' '아이 못 낳는 여인은 아이를 낳을 수 있다' 는 등 잘못 알려지면서 원근의 아낙네들이 깊은 밤 몰래 담을 넘고 뛰어 들어와 가지를 꺾어 가는 등 많은 수난을 당했다고 한다.
대구생명의 숲 운영위원(ljw1674@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