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10+' 26일 오후 11시 10분
극지방 연구와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며 얼음을 깨는 배, 쇄빙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2008년 아커야즈(현 STX유럽)라는 조선회사는 세계 최초로 쇄빙컨테이너선을 완성했다. 길이 169m, 무게 1만2천t, 설계와 건조에 2년이 걸린 배다. 세계 최대 니켈 생산업체인 노릴스크 니켈이 주문한 1억2천만달러짜리 쇄빙컨테이너선 '아커 CS 650'의 탄생 과정을 함께 지켜보자. EBS '다큐10+, 북극항로를 개척하다 쇄빙컨테이너선'편이 26일 오후 11시 10분 방송된다.
쇄빙선은 프로펠러의 추진력으로 배를 얼음 위로 밀어올린 다음, 단단한 쐐기 모양 뱃머리로 얼음을 깨고 아래로 누르며 전진한다. 하지만 '아커 CS 650'은 구조부터 일반 쇄빙선과 다른데, 평소에는 뱃머리를 앞세우고 항해를 하다가 두꺼운 얼음을 만나면 180도 방향을 바꿔 배꼬리로 얼음을 깨며 나아간다.
극지 운항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하는 건 아커 아틱 테크놀로지가 맡고 있는데, 이 연구개발 전문회사는 방대한 양의 쇄빙선 설계, 건조 기술을 축적해왔다. 선반 건조는 독일의 두 조선소에서 맡았다. 뱃머리 쪽은 비스마르에서, 배꼬리 쪽은 바르네뮌데에서 제작해, 비스마르에서 두 부분을 이어붙인 것이다.
이중저(선박의 이중 바닥)를 만들고, 강철판을 잘라 붙이고, 도장을 해 각 부분을 완성한 뒤에는 드라이독에 내려놓고 엔진을 비롯한 의장을 설치한다. 건조가 끝나면 성능 검사를 받는다. '아커 CS 650'은 2008년 여름 노릴스크 니켈에 인도됐고, 러시아 예니세이 강에서 북극권의 무르만스크까지, 광물이 가득 든 컨테이너를 실어 나르고 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