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빠진 안경산업 육성책…"북구청 외형 투자" 비판

입력 2012-04-04 11:13:52

비즈니스센터 200억 투입, 제조업체들 입주 등돌려

대구 북구청은 안경산업 육성을 위해 많은 돈을 쏟아 붓고 있지만 정작 안경업체들은 이를 외면하고 있다. 침산교 서쪽 네거리의 안경조형물.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대구 북구청은 안경산업 육성을 위해 많은 돈을 쏟아 붓고 있지만 정작 안경업체들은 이를 외면하고 있다. 침산교 서쪽 네거리의 안경조형물.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대구 북구청이 추진 중인 안경산업 육성이 겉돌고 있다. 북구청은 안경업체가 한곳에 모이는 '토탈 비즈니스센터'건립에 2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지만 안경 제조업체들은 기술 유출과 임대료 부담 탓에 센터 입주를 꺼리고 있다. 또 구청은 안경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보다는 안경거리 조성 등 외형 가꾸기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2일 오후 대구 북구 노원동의 한 골목길. 작은 공장들이 빼곡히 들어선 골목에 차량 수십 대가 주차된 공터가 있었다. 이곳은 북구청이 안경산업 토탈비즈니스센터(이하 안경센터) 건립을 위해 매입한 땅으로 부지 면적만 3천여㎡에 이른다. 북구청은 25억원을 주고 이 땅을 매입, 지난해 안경센터 건립 계획을 세웠다. 북구청은 200억원을 들여 지하 2층, 지상 7층(연면적 1만3천500㎡) 규모로 안경센터를 조성, 안경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아파트형 공장을 유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정작 이 센터의 수혜자가 될 안경업체들은 등을 돌리고 있다. 대구 안경관련업체 10곳 중 6곳가량이 직원 5명 미만의 영세업체라 아파트형 공장의 임대료와 관리비 부담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이곳에서 7년간 안경제조공장을 운영해온 이모(43) 씨는"안경업체는 직원 5명 미만이 60%가 넘을 정도로 영세하다"며 "비싼 임대료를 주고 센터에 들어가려 하겠느냐. 디자인과 기술유출 가능성도 센터 입주를 꺼리는 이유다"고 말했다.

북구청은 또 안경업체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원보다 외형 가꾸기에 돈을 쏟아 붓고 있다. 구청은 2년 전 19억5천만원을 들여 침산교~노원네거리 1.1㎞ 구간에 안경 가로등과 안경 표지판, 조형물을 설치하며 안경거리를 조성했다.

하지만 안경업체들의 반응은 냉랭하다. 안경테 공장 김모 사장은 (47)은 "영세한 안경업체들은 수출을 하고 싶어도 품질 보증을 할 수 있는 계측장비가 없어 수출하지 못하고 있다. 안경거리 등 외형 가꾸기에 쓸 돈으로 업체에 설비 지원을 해주는 게 낫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북구청 관계자는 "안경거리는 2006년 대구안경산업특구로 지정되면서 시행한 것으로 원래 사업 목적이 거리 경관 조성이었다"면서도 "안경센터가 건설되면 업체의 임대료 부담을 최소화하겠다"고 해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