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사찰 공방에 지역의 여야 후보들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사찰 책임론을 거론하면서 상대 후보 깎아 내리기에 나선 것이다.
대구 달서병에 출마한 조원진 새누리당 대구선거대책본부장은 2일 성명을 통해 "민간 불법사찰 몸통은 노무현 정부"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의 민간인 사찰도 분명히 문제이지만 KBS 새노조가 발표한 2천619건 중 80% 이상이 인권의 전도사를 자처하던 노무현 정부에서 행해졌고, 민간기업과 노조활동까지 광범위하게 사찰이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조 본부장은 "김대중 정권 때 국가정보원이 정관계 인사, 언론인 등을 도청한 사실이 발각된 후 불법 도청은 더 이상 없다고 해놓고 다시 한 번 민간인 사찰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여야는 특검이든 국정감사든 청문회든 모든 수단을 동원해 진상을 밝히고, 책임자를 문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대구 수성갑에 출마한 김부겸 민주통합당 후보는 "참여정부 시절 작성된 감찰 자료는 경찰 감찰 직무와 보고작성 요령에 대한 것이나 현직 경찰관의 비리 사실 보고서가 대부분"이라며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작성된 민간인 사찰 문건과는 성격이 확연히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권재진 법무장관 등 검찰 지휘부의 즉각 해임, 범죄 은닉에 연루된 검찰 수사라인 전면 교체, 특별수사본부 구성과 불법 민간인 사찰 자료 즉각 공개 등을 요구하는 등 중앙당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지역의 후보들이 자신의 선거를 치르기도 바쁜 와중에 중앙의 정치 사안에 대해 언급하고 나선 것은 사찰 문제가 더 이상 수도권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표심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조 본부장 측은 2일 "사찰 문제는 지역의 젊은층 표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2030세대는 우리 당이 약보합세를 띄고 있는 계층인데 미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 측도 "대구의 젊은 표심을 호도하는 새누리당 세력을 지켜볼 수만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중앙당에서는 이번 사찰 논란을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의 승부수로 띄운다는 계산이다. 정치권에서는 전'현 정권이 맞붙은 불법 사찰 힘겨루기의 승부가 많게는 10∼20곳의 의석을 좌우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체 지역구의 45%인 수도권의 112석(서울 48석, 인천 12석, 경기 52석) 중 40여 곳에서 박빙의 접전이 펼쳐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곳에서의 민심 흐름이 선거 막바지 승패를 좌우하는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수사 방법에 있어 이견을 보이는 이유도 총선에 끼치는 영향 때문이다. 특검 반대를 주장하는 한명숙 민주당 대표는 "총선 전까지 열흘만 버티자는 시간끌기용, 꼬리자르기용으로 특검이 이용되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는 특별수사본부를 신설해 즉각적으로 권재진 법무장관을 해임할 것을 주문하는 배경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