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우의 소통 비타민] SNS 소통 두려워하는 후보 누구인가!

입력 2012-03-03 08:25:20

4'11 총선을 앞두고 국회의원 예비후보들의 정책 공약이 쏟아지고 있지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소프트웨어(SW) 활성화를 비롯한 지역의 정보화 진흥 공약은 찾아볼 수가 없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SNS의 도입으로 양적'질적인 정보 격차가 계층 및 거주지별로 심각하다고 한다. 양적인 수준은 스마트폰과 SNS의 접근 및 이용과 관련되며 질적 격차는 의사소통 역량과 목적에 맞는 정보 활용 여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장애인, 장노년층, 저소득층, 농어민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1.3%로 전체 국민(15.6%)에 비교해서 크게 낮았다. 정보화 취약 계층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두 가지로 밝혀졌다. 구입 및 이용 비용의 부담,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모른다는 것.

양적 격차는 질적 격차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낳는다. SNS를 이용한 인터넷 심화 활용 수준의 경우 전체 국민이 40.7%에 이르는 데 비해 취약계층은 19.3%에 그쳤다. 활용 수준은 SNS,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 유료 콘텐츠 구입 등과 관련된 적극적 정보 생산, 공유, 소비 활동으로 측정되는데, 이렇게 보면 취약 계층은 디지털 사회의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 간 정보 격차는 어떨까? SK텔레콤이 최근에 공개한 모바일 트래픽 지도를 보면 수도권과 지역의 정보 격차는 놀랄 만하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전체의 절반에 이르는 49.7%가 무선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 데 비해 대구는 5.2%이며 경북은 5.6%에 불과했다. 이는 스마트 기기 시대의 모바일 권력 지도를 보여주는 수치로서, 지역의 열악한 스마트 인프라, 그리고 지역에 특화된 서비스 부족이 가져온 결과이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정보화 진흥을 위한 공약은 보이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정보 격차를 해소함으로써 디지털 사회를 활성화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날은 디지털 기술의 사회문화적 영향과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안목과 식견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따라서 정보화 사회에 대한 전문 지식을 겸비한 후보가 필요하며, 후보들은 다음 사안에 대해 해법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먼저 스마트폰의 보급 및 SNS 이용 수준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지, 이를 위해 정부가 할 일은 무엇인지, 그리고 지역 주민을 위한 통신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고소득 부농 인구를 늘리기 위해 스마트폰을 농식품 유통에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이 무엇인지, SNS를 활용하여 지역 축제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지, 지역의 소셜미디어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설치할 것인지 등에 대한 공약을 제시해야 한다.

이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청년 일자리를 늘리는 일과도 관련된다.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는 이유는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지역 소프트웨어 진흥 산업 예산은 2010년 175억 원에서 2012년 152억 원으로 줄었다. 이에 대해서도 해법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우선 지역의 디지털 산업 벤처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중소기업의 소프트웨어 인력을 확충하기 위한 비용이 어느 정도인지 산출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지역의 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한 예로, 인터넷을 통한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을 통해 기업의 경영 개선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이루어 낼 수도 있다. 크라우드소싱은 기업이 직접 처리하기 힘든 과제를 외부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참여자의 기여로 얻은 수익을 공유하는 것으로, 시공간의 경계를 넘어선 인터넷 덕분에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런 모델을 적극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정보화 진흥 공약이 부족한 이유는 지역 정치인들이 SNS 정보 격차 해소를 두려워하기 때문이 아닐까? 정보 소통의 활성화는 언론의 자유를 증진하고 정치 참여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기득권 정치인에게 스마트폰을 통한 적극적 정보 공유와 사회적 교류가 반드시 반가운 일만은 아닐 수 있다. 인터넷 카페와 카카오톡, 미투데이, 트위터, 페이스북에서 투표 참여를 말하는 것은 그들의 선거 캠페인 전략에 반하는 것일까.

영남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