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테마주 투자경고 먹혀들까…박근혜·문재인株 등 실적과 무관

입력 2012-02-11 08:00:00

한국거래소 경고에도 끄덕없어

정치테마주가 심상치 않다. '때가 되면 우리가 알아서 투자금을 빼겠다'는 식의 순진한 투자로 보기엔 주가 상승치와 거래량이 심상치 않았는데 10일에는 대거 하한가를 기록했다. 한국거래소가 투자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겠다며 정치테마주 상당수를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한 탓이다. 아직 상당수 투자자들에겐 '남의 동네일'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1월 한 달간 19개 종목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됐고 이달 들어 8일까지 11개 종목이 투자경고 종목에 올랐다. 투자경고 종목이 통상 한 달에 10개 미만으로 지정된 것을 감안 하면 폭증이다.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매달 13~15개씩 지정됐다.

한국거래소가 올 들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한 종목 일부는 정치테마주다. 박근혜 테마주로 분류되는 비트컴퓨터, EG 등이 투자경고 종목에 올랐고, 이달에는 문재인 테마주로 분류되는 바른손과 우리들제약, 우리들생명과학 등이 대상에 올랐다.

하지만 대놓고 경고해도 꿈쩍 않는 투자자들이 정치테마주에 몰린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종목이 CNK다. 감사원과 금융당국의 발표로 카메룬의 다이아몬드 매장량이 현저하게 과장됐다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CNK는 상한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바른손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4∼9월) 매출이 363억원으로 늘었지만 54억원 영업적자, 64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보다 실적은 나빠졌다. 주가는 지난달 20일부터 12거래일 동안 올라 4배나 뛰었다가 9, 10일 이틀 연속 하한가를 기록했다. 문재인 통합민주당 상임고문이 일했던 법무법인이 이 회사의 법률고문을 맡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대표적인 문재인 테마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자 금융당국도 일부 종목의 경우 작전 세력이 개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관련 계좌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적자 규모가 커지며 실적이 나빠졌는데도 주가가 급등하는 것은 다른 이유 때문이라는 게 근거다. 그러나 작전으로 주가가 급등해 일반 투자자까지 몰려 속칭 '폭탄 돌리기'로 변질되면 애매해진다.

2007년 다단계회사들의 폭탄돌리기식 투자를 수사하려던 사법당국을 제지한 것은 투자자들이었다. 잘 돌아가는 회사에 수사가 진행 중이라는 소문이 퍼지면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회수하게 돼 공멸하게 된다는 논리였다. 지금 정치테마주 투자자들에게 한국거래소의 경고와 금융당국의 조사는 어떤 의미일까.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