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쓸한 영혼이나 편들까 하고
슬슬 쓰기 시작한 그날부터
왜 쓰는지를 안다는 말 생각할 때마다
세상은
아무나 잘 쓸 수 없는 원고지 같아
쓰고 지우고 다시 쓴다
쓴다는 건
사는 것의 지독한 반복학습이지
치열하게 산 자는
잘 쓰인 한 페이지를 갖고 있지
말도 마라
누가 벌 받으러
덫으로 들어갔겠나 그곳에서 나왔겠나
지금 네 가망은
죽었다 깨어나도 넌 시밖에 몰라
그 한마디 듣는 것
이제야 알겠지
나의 고독이 왜
아무 거리낌 없이 너의 고독을 알아보는지
왜 몸이 영혼의 맨 처음 학생인지
시만을 바라보며 고군분투하는 전업시인 천양희 시인의 곧은 성격이 잘 드러나는 작품입니다. 시인은 시를 덫이라 부르네요. 그러나 스스로 걸어 들어간 덫이니 얼마나 행복한 덫인지요. 이 덫을 향해 자진해서 걸어 들어간 삶보다 치열한 삶이 또 어디 있을까요.
이런 치열한 삶은 고독할 수밖에요. 그래서 치열하게 사는 당신의 고독도 알아볼 수 있는 겁니다. 그런 고독을 거친 영혼이어야 이제 남을 가르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하여 비로소 학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겠지요. '몸'이라는 가끔씩 제멋대로인 골치 아픈 학생 말입니다.
여러분도 덫에 걸려 보시는 게 어떨까요. 무미건조한 일상의 발등을 '철컥' 하고 내리쳐 세상을 새롭게 보게 만드는 행복한 시의 덫 말입니다. 최근 문학잡지에 실린 따끈따끈한 덫을 일주일에 몇 개씩 갖다 놓을 테니 주저 말고 '철컥' 밟아주시기 바랍니다.
시인'경북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