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이후 입시 전략 수립은 수능 시험 가채점부터다. 수능 가채점 분석 작업을 잘해 놓으면 30일 수능성적 발표 직후 이른 시간 내에 적절한 지원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수험생들이 꼭 알아두어야 할 수능 가채점 결과 분석방법과 활용전략을 알아본다.
◆수능 반영 유형에 따른 유불리 분석=가채점을 끝냈다면 대학별 수능 반영 유형에 따라 본인의 유불리를 차분히 분석해 보는 것이 좋다. 수능 반영 방법은 크게 '3+1형태' '2+1형태' '특이 반영 형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 수능 점수 반영 방법도 표준점수'백분위, 변환 표준점수 등으로 다양하며 영역별 반영 비율, 특정 영역 가중치 부여 등 대학마다 서로 다른 점수 산정 기준을 적용한다. 수험생들은 이 중 본인이 지원하기에 유리한 수능 반영 유형, 반영 방법 등을 먼저 찾아내야 한다.
◆유리한 대학전형 찾아 지원전략 파일 만들기=본인의 수능 성적 유불리 분석이 어느 정도 끝났다면 지원하기에 유리한 대학과 전형을 찾아 가상 지원전략 파일을 만들어 보자. 예를 들어 언어와 외국어 영역의 성적이 우수하다면 해당 영역의 반영 비중이 높은 대학들을 찾아 꼼꼼히 정리해야 한다. 이때 유의할 점은 대학 이름이나 전형 명칭 정도만 써 넣는 것이 아니라 해당 대학, 전형이 요구하는 수능 외 다른 전형 기준들도 함께 메모해 두어야 한다. 30일 수능 성적이 발표되면 정리한 목표 대학 및 학과들의 최근 경쟁률, 선발방식 및 모집 인원의 변경 현황, 추가합격 현황 등을 확인해가며 최종 지원을 위한 지원전략 파일을 완성해 가야 한다.
◆수시2차시 수능 최저학력기준 파악=수능 이전에 원서 접수를 마친 수시모집 대학별고사의 응시 여부, 수능 이후 원서 접수를 실시하는 수시모집 대학의 지원 여부 등을 결정하기 위해서도 가채점 결과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수능 이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하는 대학의 경우 대부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므로 가채점 결과를 분석해 지원 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올해부터는 수시 추가 모집을 시행하면서 예비 합격자 순위에 들고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만족할 경우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가채점을 통한 목표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 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병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