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를 소유한 학교법인 영광학원의 이사회가 11일 열린다. 예정대로라면 이번 이사회에서는 재단 이사장을 선임한다. 하지만 그동안 구 재단과 현 대학 구성원 사이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했던 점에 비춰보면 이사장 선임 여부는 불투명하다. 양측 관계자는 이사장 선임을 둘러싸고 서로 부당성을 지적하고 있어 또 한 차례 충돌할 조짐도 있다.
1994년 구 재단의 비리 문제로 관선이사가 파견된 후, 대구대는 17년 만인 지난 7월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의 정이사 선임 결의를 통해 재단정상화에 들어갔다. 그러나 사분위는 구 재단 추천 인사 3명, 현 대학구성원 추천 인사 2명, 교육과학기술부 추천 인사 2명을 정 이사로 선임했다. 양측을 모두 배려한 배분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책임 회피에 가까워 불씨를 남겼다. 이 때문에 대구대 정상화 문제는 해결 기미 없이 아직도 진행형이다.
재단이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침체한 학교를 살리고, 재단과 학생, 대학 구성원이 모두 윈윈하는 방안을 찾는 일이다. 이 명분 위에는 어떤 것도 있을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서로를 인정하는 것이 먼저다. 적대관계가 아니라 존중해야 할 각각의 축이라는 뜻이다. 양 축이 대화를 통한 화해와 양보, 타협으로 접점을 찾을 때만 학교 정상화가 가능하다.
이사장 선임을 두고 표 대결로 갈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는 옳지 않다. 오히려 심각한 대립을 불러 사태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다수결은 분명히 민주주의의 장점이지만, 소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는 것이 더 민주주의 근본 이념에 가깝다. 그리고 대구대 정상화는 양측이 함께 손을 맞잡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모두가 기대하는 첫 이사회이니만큼 힘 대결보다는 꿈과 희망을 주는 결과가 나오기를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