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복합화력발전소, 주민은 "찬성" 시의회는 "반대"

입력 2011-09-21 10:17:52

구룡표읍, 장기면 유치 경쟁…어민·환경단체는 "환경파괴"

포항 복합화력발전소 유치를 위해 구룡포읍과 장기면 주민들이 각각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본격 활동에 나섰지만, 포항시의회와 환경단체 등은 화력발전소 건립에 부정적이어서 갈등이 예상된다.

구룡포읍 하정리와 병포리 등 남부지역 주민 200여 명은 19일 구룡포남부초교에서 복합화력발전소 유치위원회를 결성하고, 지역 발전을 위해 유치활동을 벌이기로 결의했다. 이들은 각 마을 입구에 유치를 희망하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주민 동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홍보전에 돌입했다. 장기면 주민 100여 명도 이달 16일 33개 마을이 참여하는 유치위원회를 발족하고 동의서 서명작업을 벌이고 있다.

유치 희망지역 주민들은 사업시행사가 주민설명회를 통해 발전소 건설기간 6년 동안 매일 상시고용 500명, 연인원 30만 명의 건설고용을 약속해 고용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또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1천억~1천500억원의 특별지원금이 지원되고, 지방세수도 30년간 매년 190억원씩 지원돼 주민소득증대와 숙원사업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에 부풀어 있다.

이처럼 화력발전소 유치전이 2파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으나, 포항시의회와 포항환경운동연합, 구룡포 어민단체 등은 환경파괴 등을 이유로 유치에 반대이거나 부정적인 입장이다.

특히 구룡포의 남부지역 주민들은 유치에 적극적인 반면 구룡포 과메기와 오징어협회 소속 어민들은 현재까지 유치를 반대해 지역 내 갈등과 분열마저 빚어지고 있다. 포항환경운동연합은 성명을 통해 "화력발전소는 기본적으로 공유수면 매립, 유연탄 사용, 열폐수 배출 등으로 무엇보다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는 최악의 공해시설이다"며 발전소 건설계획 철회를 포항시에 요구했다. 또"포항시는 아직 확정되지도 않은 6차 국가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되는 것이 기정사실인 것처럼 홍보하면서 구체적 사업계획과 공론화 과정을 무시한 채 밀어붙이기 식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포항시는 다음달 5일까지 화력발전소 유치 신청서를 받아 7일쯤 후보지를 결정할 방침이다. 후보지가 결정되면 내년 1월 지식경제부 전력수급기본계획 반영요청서를 제출, 1년 동안 심사를 거쳐 2012년 12월쯤 복합화력발전소 건설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포항'강병서기자 kbs@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