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주여성들의 경제 활동에 지원 있어야

입력 2011-09-10 07:07:01

언젠가부터 설, 추석이면 결혼이주여성이 제사상을 준비하며 활짝 웃는 모습이나 이들의 녹록지 않은 한국 삶에 대한 애환을 다룬 이야기가 빠지지 않고 언론에 등장한다. 이들이 우리 사회 구성원으로 자리 잡은지 꽤 됐으니 그럴 만도 하다.

외국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1992년 중국과의 수교, 국제화 바람과 농촌 총각 결혼난 등 영향으로 본격화됐으니 20년 세월이 지났다. 국제결혼은 2000년대 급증, 2005년(4만 2천356건) 이후 줄었지만 해마다 3만 건(2010년 3만 4천235건)이 넘는다. 대구, 경북에서도 매년 1천~2천여 건에 이른다.

이혼도 크게 늘었다. 2000년(1천498건)부터 급증하다 2009년(1만 1천692건) 이후 감소(2010년 1만 1천245건)했다. 대구에서는 매년 200~300건, 경북에서는 300~400건의 이혼이 있었다. 국제결혼 및 이혼의 대부분은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 사이에 일어났다.

이혼 원인으로는 성격 차이 등 외에 경제적 문제도 컸다. 이는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지난해 아내가 외국인인 다문화가정 이혼 상담(472건) 분석에서 잘 드러난다. 이 상담소에 따르면 상담 외국인 아내의 88%와 한국인 남편의 48%가 재산이 없었다. 한국인 남편의 32%는 월수입이 전무했다. 취업도 상담 외국인 아내의 36%와 한국인 남편의 30%가 단순 노무직이었다. 단순 노무직과 무직 등을 합하면 한국인 남편 52%가 수입이 불안했다.

이처럼 다문화가정이 경제적 문제를 안고 있는 가운데 대구경북 이주여성들이 잇따라 식당을 열어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7일 경북대 북문 부근에서는 중국 베트남 태국 출신의 이주여성들이 음식점을 냈다. 구미와 상주에서도 지난해 결혼이주여성들이 식당 3곳을 개업했다.

며느리, 아내, 어머니 등 1인 다중(多重)의 역할을 하는 이주여성들이 가정경제 일으키기에도 나선 셈이다. 그러나 통계청에 따르면 신규 사업의 첫해 폐업률이 30%를 넘고, 5년차에 이르면 생존율이 33%로 나타나고 쉽게 창업하고 폐업도 많은 분야가 음심점업이어서 걱정도 된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의 조속한 정착과 가정경제의 안정을 위해 스스로 일자리를 마련하고 찾아 사회에 진출하는 이주여성들에게 대구시와 경북도 등 관계 당국은 적극적인 관심과 배려,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