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구상한 국가정책, 발표할 기회 올 것"
여권의 유력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9일 "그간 구상한 정책 등에 대해 발표할 기회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라고 밝히자 정치권은 박 전 대표가 스스로 대권 행보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을 시사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정부의 재정건전성 문제를 강조하고 '생애 맞춤형 복지' 정책을 내놓으면서 복지 논의를 촉발한 박 전 대표는 이후 이렇다 할 발언이나 행보를 이어가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달 대구스타디움에서 '지역구(달성군) 사수'를 선언하고, 최근 서울 서초구 방배동 수해현장에까지 모습을 드러내면서 '대권 출발'을 선언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박 전 대표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 회의 출석에 앞서 기자들을 만나 "기왕 늦은 거 잠시 서서 얘기하겠다"며 현안 질문에 모두 답했다.
박 전 대표는 먼저 내년 총선 공천과 관련해 영남권 중진 대폭 물갈이를 주장하는 수도권과 명확한 공천 기준 정립을 지적하는 영남권 의원들 간의 각축에 대해 "국민이 납득할 만한 공천 기준과 시스템을 먼저 잘 만드는 게 우선"이라며 "공천이라는 것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나이 등 물리적 잣대보다는 입법 활동, 인지도, 교체지수 등 공감할 만한 공천 지수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어 홍준표 대표가 최근 지명직 최고위원을 각각 호남'충청에서 기용하던 것과 달리 충청권에 다 주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한나라당은 전국 정당을 지향하는 당"이라고 못박고, "그 정신에 맞게 지명직 최고위원도 결정하는 게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제동을 걸었다. 전국적 지지도를 끌어내야만 하는 박 전 대표가 이례적으로 당직 인선까지 거론했고, 최근에는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도 호남 출마를 선언하면서 '호남 공들이기'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박 전 대표는 자신의 당 대표 시절 지명직 최고위원제를 도입했고 이후 호남 인사를 한 번도 배제한 적이 없다.
박 전 대표는 또 미국의 '동해→일본해' 표기 지지에 대해서도 "독도는 지리'역사적으로나 국제법으로나 엄연한 대한민국 영토이며 우리는 독도가 우리 영토라고 만천하에 천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지역 정치권은 박 전 대표의 독도 발언은 경상북도 행정구역임에도 지역 의원들이 소극적으로 대응한 데 대한 일종의 질책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도 "재정건전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 사례"라고 밝혔다.
서상현기자subo801@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