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라르 다비드 작-캄비세스 왕의 재판
네덜란드 초기 르네상스를 빛낸 화가 제라르 다비드(Gerard David, 1460~1523)가 1498년에 그린 '캄비세스 왕의 재판'은 중죄인을 산 채로 살가죽을 벗겨 가혹한 형벌로 다스리는 장면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기원 전 6세기, 고대 페르시아의 군왕으로 군림했던 캄비세스는 중죄인에게 살가죽을 벗겨 죽이는 가혹한 형벌로 악명을 남겼으나 특히 그 같은 형벌은 부정부패에 관한 한 후세에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끔찍한 형벌을 당하고 있는 이 작품의 중죄인은 평결을 팔아먹은 부패한 재판관이기 때문이다. 캄비세스 왕은 평소 믿었던 재판관 시삼네스가 만인에게 평등한 법의 존엄을 무시한 채 돈을 받고 평결을 팔아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격분하여 부패한 법관과 관리들에게 일대 경종으로 삼게 하기 위해 가혹한 형벌을 내린 것이다.
이 작품은 제라르 다비드가 그의 고향인 브뤼헤시(市)의 의뢰를 받아 그린 것으로 시청사 '정의의 홀'에 걸어두고 모든 공직자들에게 부정'부패 근절의 교훈으로 삼았다고 한다. 이 작품과 유사한 '캄비세스 왕의 재판Ⅱ'를 보면 시삼네스의 벗겨진 살가죽이 의자에 깔려 있고 그 의자 위에 새로 임명된 아들이 앉아 재판을 심리하고 있다. 한순간에 소름이 끼치는 느낌을 받는다.
처형된 아버지의 살가죽이 깔린 의자에 그 아들이 앉도록 재판관으로 임명한 것은 대물린 연좌(連坐)의 형벌이기도 하겠지만 어쩌면 다시는 그런 부정·부패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군왕의 단호한 의지인지도 모른다.
이미애(수성아트피아 전시기획팀장)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