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명천군에서 태어난 허헌(許憲'1885~1951)은 대한제국의 하급관리로 일하며 공정한 사회를 만들려는 일념으로 법률가의 꿈을 키웠다. 23세에 일본 메이지대학교 법학부에 입학, 1908년 제1회 변호사시험에 합격해 변호사가 됐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 대표적인 항일 변호사로 활약하면서 해박한 법 이론을 통해 많은 독립투사들을 변론, 일본에까지 그 명성을 날렸다. 1926년엔 견문을 넓히려 세계일주 여행을 단행해 장안의 화제가 됐고 잡지 '삼천리'에 세 번에 걸쳐 여행기가 실렸다. 이후 그는 신간회 간부로 항일투쟁에 나서 몇 차례 옥고를 치렀다.
당시 많은 지식인들이 그러했듯 허헌도 1925년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해 중도좌파적인 사회주의 성향을 띠게 됐다. 해방 후 1946년 오늘 남조선로동당이 결성되자 여운형에 이어 그는 2대 남로당 위원장을 맡아 박헌영 노선을 지지했다. 혼란했던 해방정국에서 그는 1948년 남북협상차 북조선으로 가 내려오지 않았다. 이 때문에 그는 1987년 이후 '자발적 월북자'란 이유로 복권대상서 제외됐고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서훈 대상에서도 빠졌다.
북조선 여성운동가 허정숙의 아버지인 그는 1951년 청천강에 빠져 숨졌다. 정치적 숙청인지 자연적인 사고인지 분명하지 않다.
우문기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