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 최후임(52·대구시 남구 대명동) 씨는 가급적 오후 늦은 시간에 백화점을 찾는다. 식품매장에서 조금이라도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입하기 위한 목적이다. 다른 매장을 충분히 돌아본 뒤 폐점 시간이 임박해서 식품관을 찾는 것. 그는 "식품관 폐점시간을 활용하면 신선식품을 싸게 판매하는 타임서비스, 덤 판매 등의 특별행사를 노려 조금이라도 싼 가격에 장바구니를 채울 수 있다"고 했다.
최근 최 씨처럼 백화점 폐점에 임박해 식품관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생겨난 새로운 풍경이다.
롯데백화점 대구점과 상인점이 자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9월 들어 식품관의 시간대별 매출이 오후 6~8시(폐점)가 21.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오후 4~6시 17.9%, 오후 2~4시 14.8% 등으로 분석된 것. 의류매장과 식품매장의 피크타임대는 오후 4~6시라는 백화점의 오랜 불문율이 깨진 것이다.
반면 다른 매장의 매출은 오후 4~6시가 21.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오후 2~4시 17.8%, 오후 6~8시(폐점) 15.8% 순이었다.
롯데백화점 대구점 이종언 식품팀장은 "시간이 다소 늦더라도 좀 더 싸게 살 수 있다는 점이 주부들의 지갑을 열게 하면서 백화점 식품 구매 패턴을 크게 바꿔 놓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런 패턴 변화에 따라 백화점에서도 이달 17일까지 '식품 그린 마일리지' 행사를 통해 사은품을 지급하는 등 다양한 이벤트를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올 2분기 엥겔계수가 8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도 식품관 쇼핑시간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가계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인 엥겔계수가 2분기 13.31%로 집계되면서 2001년 3분기 13.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것. 가계의 최종소비 지출액 145조9천140억원 가운데 19조4천270억원이 식료품을 사는 데 쓰였다는 말이다. 엥겔계수는 1970, 80년대 20~30%에 달하다가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2000년대 들어서는 12%대까지 낮아졌으나, 금융위기를 겪고 난 지난해부터는 13%대로 반등했다.
한윤조기자 cgdream@msen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