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자성(磁性) 필름의 폭이 수백㎚(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 이하로 작아질 때 발생하는 새로운 성질을 규명해 자성필름을 이용한 차세대 메모리 소자 개발에 크게 기여한 공로로 포스텍 물리학과 이현우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9월 수상자로 선정했다.
이 교수는 별도의 전기 공급 없이도 정보를 유지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장점을 살리면서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같이 속도가 빠른 신개념 메모리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꾸준히 연구해 왔다.
이 교수는 "자석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어떤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는가는 기초학문에서도 매우 중요한 연구일 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도 파급 효과가 큰 연구주제"라며 "앞으로도 우수한 국내 연구진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차세대 메모리 소자 연구를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