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란다 화초들 중에
가장 볼품없는 도꾸리蘭
언제 꽃 한 번 피운 적도 없고
이파리란 것이 꼭
빗다 만 머리카락처럼 부스스한 그것에게
날마다 물뿌리개 기울여 뿌린 물은
물이 아니라 무관심이었음을 이미
감지하고 있었던 것일까
마른 잎 뜯어주려 손 내밀자 순식간에
쓱싹,
손가락을 베어 버린다 뭉클
치솟는 핏방울 감싸쥐고 바라보니
시퍼런 칼을 철컥,
칼집에 넣고 있었다
-------------------
도꾸리란(蘭)을 네이버에서 찾아보니, 용설란(龍舌蘭)속 주병란(酒甁蘭)과의 멕시코 사막 원산인 건생(乾生)식물이라고 소개되어 있군요. 기부가 마치 배부른 호리병 모양으로 그 속에 수분을 저장하고 있어서 '도꾸리'란이란 독특한 이름을 얻었더군요. 용설란속 식물답게 그 잎들은 가장자리가 칼날처럼 날렵하기도 하고요.
도꾸리란은 시인에게 "베란다 화초들 중에/ 가장 볼품없"으며, "언제 꽃 한 번 피운 적도 없고/ 이파리란 것이 꼭/ 빗다 만 머리카락처럼 부스스"한 것이어서 별 관심을 끌지 못했나봅니다. 그런 도꾸리란에 무심히 물을 주다 손을 베인 경험을, 습관적 "무관심"에 대한 도꾸리란의 날 선 복수로 읽어낸 것은, 단순하지만 범상하지만은 않은 시적 인식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이처럼 '습관적 무관심'이라는 일상에 함몰되어가며 살고 있지 않던가요. "시퍼런 칼을 철컥,/ 칼집에 넣고 있"는 도꾸리란의 무사(武士) 같은 모습이 제법 서슬이 시퍼렇습니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