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의 탄신일에 올랐던 귀한 떡으로 맛이 훌륭하고 정성도 많이 든다. 등의 고조리서를 통하여 시루에 안칠 때 봉우리 모양으로 소복하게 안치므로 봉 우리떡, 소를 넣고 뚜껑을 덮어 안치는 모양이 그릇중의 합과 같다는 뜻으로 합병, 하나 씩 먹는 떡이라는 뜻으로 후병으로 불리었음을 알 수 있다.
◆ 재료 및 분량
찹쌀가루 2컵, 간장 1/3큰술, 설탕 1컵, 거피팥고물 4 컵, 계핏가루, 후춧가루, 밤, 대추, 잣, 유자청
[떡가루양념] 찹쌀가루 2 컵, 간장1/3 큰술, 설탕 2 큰술
[팥고물양념] 거피팥고물 3 컵, 간장 1/2 큰술, 설탕 3 큰술, 계핏가루, 후춧가루
[팥소] 팥고물 2/3 컵, 꿀 1 큰술, 유자청 1 큰술, 설탕 1 작은술, 밤, 대추, 잣
◆ 만드는 방법
1 찹쌀은 깨끗이 씻어 충분히 불려서 건져 물기를 빼고 빻아 간장, 설탕을 넣어 양손으로 고루 비벼서 다시 체에 내려둔다.
2 팥은 8~10 시간 충분히 불려서 거피하여 찜통에 푹 무르게 찐다.
3 무르게 익은 팥을 방망이로 찧어 간장, 설탕, 계핏가루, 후춧가루를 넣어 고루 섞는다.
두꺼운 팬에 주걱으로 뒤집어가며 보슬보슬하게 될 때까지 볶아 체에 내린다.
4 밤은 껍질을 벗겨서 잘게 썰고 대추도 씨를 발라 썰고 설탕에 재웠던 유자를 건져 곱게 다진다.
5 3의 볶은 팥고물 중 2/3 컵을 덜어 꿀, 유자 청, 다진 유자를 고루 섞은 후에 밤, 대추, 잣을 박아서 직경 2cm 의 동글납작한 모양의 소를 빚는다.
6 찜통이나 시루에 젖은 베보자기를 깔고 팥고물을 한 켜 깔고 1 의 찹쌀가루를 한 수저씩 놓고 5 의 팥소를 놓고 다시 그 위에 찹쌀가루를 한 수저씩 덮고 팥고물을 올려 10~15 분간 찐다.
김덕희 대구보건대학 호텔조리계열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