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전화번호 등재 3만명, 주민 조사응답률 3% 그쳐
12일부터 류규하 전 대구시의회 부의장, 윤순영 중구청장, 한기열 한나라당 대구시당 부위원장 등 3명에 대한 지지도 조사를 벌인 대구 중구는 조사 샘플 확보에 애를 먹었다. 두 곳의 여론조사기관에 의뢰, 각 1천 샘플씩 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한나라당 대구시당 공천심사위원회에 보고하기로 하고 조사에 들어갔다. 그러나 중구에 등재된 개인 명의의 전화번호가 3만 개 안팎이어서 1천 건이라는 사례를 채우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것이다.
여론조사 기관은 통상 업소명으로 등재된 전화번호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한다. 그 지역 주민이 아닐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주민등록자가 8만명이 채 안 되는 중구에는 업장은 중구지만 다른 구에 살고 있는 인구가 더 많다.
게다가 최근 전화 여론조사 응답률이 3% 안팎에 불과하다는 점도 문제다. 선거전이 달아오를수록 각종 여론조사가 범람해 응답률은 더욱 낮아진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3만 통의 전화가 모두 성공할 경우에 많아야 900개의 샘플 확보가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 때문에 대부분 하루 만에 완료되는 다른 지역의 여론조사와 달리 중구는 두 기관의 중복 조사까지 허용했는데도 하루를 넘겼다는 후문이다.
한나라당 대구시당 공심위는 13일 회의에서 중구 공천을 논의하려고 했으나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아 다음 공심위가 열리는 16일에야 중구청장 공천자를 확정할 예정이다.
정치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