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수업의 가장 큰 골칫거리는 바로 학생 평가. 학생 개인의 학력과 특성을 살린 맞춤식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학력평가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 학교만 하더라도 같은 과목이라도 4명의 교사가 서로 다른 방식과 수준으로 수업을 하다 보니 학력평가 자체가 어려움이 있고 공정성에 대한 불만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학교가 개발한 것은 바로 수준별 수업에 따른 수준별 평가. 정기고사에서 대부분의 문항은 공통 문항으로 출제하되, 일부 문항은 상·중·하 수준의 문제를 엮은 세트문항으로 제시하여 학생이 자신의 수준에 적합한 문제를 선택하여 풀 수 있도록 한 것.(예시참조) 예를 들어 수준별 선택 세트 문항에서 상 수준의 문제에는 5점, 중 수준의 문제에는 4점, 하 수준의 문제에는 3점 등과 같이 문항별로 점수를 차등 배정한다. 모든 세트 문항의 상 수준의 문제를 모두 풀었을 때 100점이 나오도록 시험지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위반 학생이나 하위반 학생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됐다.
이동휘 교사는 "이 평가 방법을 활용할 때, 하 수준의 학생들은 세트 문항에서 자신의 능력에 맞는 문제를 선택하여 풀 수 있어서 실력에 맞는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긍정적인 기회를 갖질 수 있고 특히 모든 영역에서 풀 수 있는 문항이 있어서, 비록 100점은 아닐지라도 모든 영역에 있어서 점수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최창희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