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중대결심" 수정안, 국민투표 시사
청와대가 세종시 문제와 관련한 이명박 대통령의 중대결단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아 세종시 논란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국민투표 카드로 해석하고 있다.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이 때가 되면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중대 결단을 내릴 것"이라며 "대통령의 결단은 세종시 발전안(신안)이 (실현)되는 방향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절차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이면서 "해석은 언론의 몫"이라 여운을 남겼다. 이 대통령의 중대결단이 국민투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았다.
특히 이 대통령이 다음주에 연례 업무보고를 받기 위해 충남지역을 직접 방문한다. 세종시 수정안이 발표된 뒤 이 대통령이 충남을 직접 찾아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나라당이 당론변경을 위한 5일간의 마라톤 의원총회를 마친 뒤 절충안 도출을 위해 '중진협의체' 구성에 나선 시점에 야당의 강력한 반발은 물론 국론분열을 야기할 수도 있는 마지막 카드로 여겨지던 국민투표 실시를 시사하고 나섰다는 점에서 그 배경이 더욱 주목되고 있다. 그동안 청와대는 친이계 일부 인사들이 제기한 국민투표를 통한 정면돌파 주장에 대해 이 대통령에 대한 '신임평가'로 변질될 수 있고, 심각한 국론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해 왔다.
그래서 청와대 관계자의 이날 언급은 한나라당 내 친박계를 겨냥한 압박용이라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중진협의체 구성에도 선뜻 응하지 않고 원안을 고수하고 있는 친박계에 대해 국민투표에 회부하는 방안을 불사할 정도로 이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를 밝혀, 태도변화를 이끌어내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이 대통령도 1일 3·1절 기념사를 통해 "지금 우리가 국가 백년대계를 놓고 치열하게 논쟁하고 있지만, 이 또한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며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고 오히려 한마음 한뜻으로 국운 상승을 위해 매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 백년대계'로 규정하고 있는 세종시 수정안 관철에 대한 기대감을 피력하면서 친박계의 양보를 촉구한 셈이다.
그러나 여권의 한 고위관계자도 1일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 진의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면서도 "세종시 수정안 관철에 대한 이 대통령의 의지를 반영한 것 아니겠느냐. 단순한 압박용은 아닌 것 같다"고 해석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n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