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이상 역량 낭비말고 정권 핵심역할 찾자
경인년은 이명박 정권 3년차다. 성숙기라 할 수 있다. 대구경북 업그레이드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한 해라 할 수 있다. 대구경북 정치권도 중요하기는 마찬가지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등 지역 출신 인사가 차기 대권을 향한 기반을 다져야 하고, 차세대 정치 지도자도 길러내야 한다. 대구경북(TK) 정치 업그레이드를 위한 과제를 짚어본다. -편집자주
친이(親李)-친박(親朴). 2년여 전 대선을 앞두고 국회의원들이 한나라당 대통령후보 경선에서 이명박, 박근혜 후보에게 줄을 서면서 생겨난 용어다. 경선이 끝난 뒤 당연히 없어져야 할 용어였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이 탄생해 집권 3년차를 맞은 경인년(庚寅年) 새해에까지 그 용어는 불행하게도(?) 유효하다. 특히 6·2 지방선거를 목전에 두고 있어 친이-친박 갈등이 재연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중앙 정치권이 이를 부추기고 있고, 대구경북 정치권이 이를 털어내기에 힘이 부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친이-친박 갈등이란 중앙 정치 논리의 최대 피해자가 대구경북이란 데 대해 지역에선 이견이 없다. 대구경북이 15년 만에 정권을 잡아 정치의 중심에 서고도 서로 싸우는 통에 절반의 역량을 낭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선에서 몰표를 준 대구경북은 이명박 정권 들어 견제의 대상이 됐다. 변방에 머물렀던 인사들이 일부 요직으로 이동하자 'TK가 다 말아먹는다'는 극한 용어까지 튀어나왔다. 그 와중에 친이-친박의 싸움은 타 지역 사람들에겐 재미나는 구경거리였다.
결과는 인재 진출 실패였다. 100여일 전 개각에서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주호영 특임장관 등 지역 사정에 밝은 인사가 장관직에 올랐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예산이 늘어나고 있다지만 새해 1인당 예산액은 대구 209만원으로 인천 262만원, 부산 221만원에 못 미친다. 명실상부한 정권의 핵심이 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대구경북 인재가 제자리를 찾지 못하면 시도 사업에 나쁜 영향을 받는 것은 불가피하다. 대구시의 경우 국비 지원금이 지난해 7천억원에서 내년 3조원으로 급증했으나, 파이를 더 키우거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중앙과의 연대가 긴요하다.
지역 정치권 일부에서 탈계파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 문제, 국가균형발전 등 정부의 굵직한 정책을 들이대면 또다시 계파의 색깔을 드러낸다. 이만섭 전 국회의장은 이와 관련 "대구경북 국회의원에게 표를 주는 곳은 이명박 대통령도 아니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도 아닌 대구경북 시도민 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