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정에는 감나무가 한 그루 있다. 회초리만큼 가는 것을 크면 주먹만한 단감이 열릴 것이라는 말에 아버지께서 사온 모종이었다. 마당에 심으면 죽을 것 같아 화분에다 심어서 볕 잘 드는 옥상 장독대 옆에서 2년을 키워 대문 옆에다 옮겨 심은 나무다. 아버지는 가을이면 온 식구가 나눠먹을 만큼 탐스런 감을 선사해 주는 그 감나무를 유독 아끼셨다. 감잎이 무성한 봄부터 꽃이 지고 진초록의 감이 영글어가는 것을 애지중지 즐기셨다. 저것 좀 보라며 혼자 보기 아까운 손자 보듯 자랑하시곤 했다. 감이 열리고 두어해 동안은 별로였지만 약도 치는 듯했고 해를 거듭할수록 초보 농사꾼 딱지 뗀 듯 감도 실해졌고 때깔도 좋아졌다, 아버지에겐 유일한 소출이었던 감농사가 잘 될수록 자부심도 높아가는 듯했다.
지난 5월이었다. 꽃이 한창일 계절에 뒷집 응달 감나무가 양지쪽 우리 감나무보다 잎도 무성하고 감꽃도 좋았다. 병이 들었는지 잎사귀도 꽃도 맥을 못 추는 지경이라 왜 이 모양이냐고 물었더니 '내 탓'이라는 말씀만 하셨다. 어머니에게 들은 사연인즉, 작년에 감의 무게로 휘어진 가지를 이른 봄 싹이 나기도 전에 원가지 쪽으로 당겨 묶어주었다고 한다. 그리곤 뒷집 감나무에 새 잎이 나도록 기별이 없자 그제야 풀어주었다고. 아버지는 그래도 고마운 일이라고 했다. 늦었음에도 잎도 나고 꽃도 피워주는 걸 보면 기특하다고. 부러질까봐 붙잡아둔다는 생각만 했던 그 일이 감나무 숨통을 조이는 일임을 몰랐던 불찰로 감나무엔 선연한 상처가 남아 있었다.
분별없는 사랑은 때로는 원치 않았던 얼토당토않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내게도 선행학습 안하면 입학도 안한 중학교 성적 추락이라도 할 듯이 억지 과외를 시킨 적이 있었다. 1년쯤 후 체벌이 심했던 악몽 같은 시간이었다는 말을 아이에게 들었을 때 나는 내 발등을 찍은 기분이었다. 아이가 싫어하는 것을 하게 했던 것은 욕심이었다. 과외시키는 엄마가 나뿐이겠으며 체벌하는 선생이 그 선생뿐이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면 과욕으로, 사랑이라는 이유로 맹목적으로 행하는 일들이 어디 이뿐일까. 가만 놔두는 것이 무조건적인 사랑보다 더 성숙한 방법일 수도 있는 것이다. 사랑도 관심도 상대가 원할 때여야 바람직한 것이며 아름답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내 사랑이 상대에게 상처가 된다면 머지않아 그 사랑은 내 상처로 남기도 한다.
봄날의 상흔은 가을 감에도 남았다. 맛이야 여전하지만 크기도 작고 모양도 제각각이다. 아버지는 감나무에 대한 미안함 때문인지 올해는 감 이야기가 없으시다. 그래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는 건 봄이 오면 새순이 날 테고 아버지의 지난날 사랑을 봐서라도 감나무가 잘 자라 줄 거라는 희망이 있다. 내년 이맘때쯤이면 부모님 마음 같은 단감을 먹으면서 올가을을 추억할 것이라는 기대도 가져본다. 이미애 수필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