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한곤
우리나라는 1990년대 들어 국제결혼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행되고 있다. 국제결혼 비율은 2005년 전체 결혼의 13.6%로 정점에 오른 이래 2006년 11.9%, 2007년 11.5%로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높은 국제결혼 비율 못지않게 높은 이혼율이다. 국제결혼 이주여성들 가운데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실패해 별거하거나 이혼하는 비율이 2003년 대비 2004년 57.1%, 2006년 46.8%로 해마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실태와 원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일이 시급해졌다.
영남대 사회학과 김한곤 교수가 2009한국농촌사회학회지 1호에 게재한 논문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기에 답을 제시한다.
김 교수는 경산, 문경, 고령, 성주, 봉화 등 5개 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 238명을 면담조사해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도와 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주여성의 적응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부 간의 연령 차이로 밝혀졌다. 즉 부부 간 연령 차이가 많이 날수록 이주여성의 생활적응도는 낮았다. 두 번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친정 가족들에게 송금을 하느냐 여부였다. 이주여성 상당수가 친정의 어려운 경제사정을 호전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국제결혼을 한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 결혼 후 친정에 송금할 수 있는 여성들은 그만큼 결혼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남편의 직업이 농업인 경우가 비농업인 경우보다 적응도가 낮게 나타났다. 문화 및 생활환경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고, 시부모를 모시는 부담, 어려운 경제 상황 등에 놓여 있을 소지가 높기 때문이다.
이주여성들은 우리말을 읽고 쓰고 말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자녀를 낳아서 키우는 과정에 큰 어려움을 느낀다. 결혼생활에 어느 정도 만족하던 국제결혼 부부라도 자녀를 낳으면서 불화에 빠질 가능성이 그만큼 큰 셈이다.
김 교수는 이 같은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했다. 먼저 어린 신부를 지나치게 선호하는 현상, 잘못된 성문화를 바로잡아 부부 간 연령 차이를 줄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홍보,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송금 등 경제적 측면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결혼 전에 서로가 가진 환경과 여건 등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결혼 과정을 제도적으로 개선하고 여성들 스스로 경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일도 중요하게 꼽았다. 자녀 교육을 돕기 위해서는 가정 방문 지도, 자조모임 지원 등을 활성화하고 멘토제 도입이나 자녀 교육 특별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연구 결과 부부 간 학력 차이, 국적 취득 여부 등은 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 다문화사회가 더 진전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기서 비롯되는 문제들을 보다 정확히 진단하고 해결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경기자
댓글 많은 뉴스
박수현 "카톡 검열이 국민 겁박? 음주단속은 일상생활 검열인가"
'카톡 검열' 논란 일파만파…학자들도 일제히 질타
이재명 "가짜뉴스 유포하다 문제 제기하니 반격…민주주의의 적"
판사 출신 주호영 국회부의장 "원칙은 무조건 불구속 수사…강제 수사 당장 접어야"
정진석 "경찰·공수처, 尹 남미 마약 갱단 다루듯…방어권 보장해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