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무상사용 승인 불구 국유재산 사용 까다로운 조건 걸림돌
R&D 허브로 조성될 구미 신평동 옛 금오공대 캠퍼스 활용 방안이 딜레마에 빠졌다.
각종 시설물 설치가 필요하지만 옛 캠퍼스가 국유재산인 탓에 건축물의 기본골격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보수 해야 하고 영구시설물은 설치할 수 없는데다 사용기간도 당장은 1년에 불과한 등 까다로운 사용조건 때문이다.
경북대·금오공대·경상북도·구미시 등 4개 기관은 2005년 2월 금오공대가 구미 양호동으로 신축 이전한 후 비어있는 캠퍼스 8만9천여㎡ 부지에 퓨전 테크놀로지 아카데미 파크(FTAP) 설립을 위해 향후 5년 동안 500여억원을 공동 부담키로 하고 최근 기획재정부로부터 옛 캠퍼스에 대한 무상 사용승인을 통보 받았다.
FTAP는 연구개발·교육·기업지원 등 3대 분야로 나눠 ▷융합기술 R&D연구원 설립 ▷기업부설연구소 집적화 ▷HRD(인적자원개발)·비즈니스지원 센터 설립 등 9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1천39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모바일융합기술센터도 들어설 계획이다.
그러나 한시적이고 제한적인 조건으로 사용승인을 받은 장소에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는 사업들을 시행하는 게 맞는가 하는 우려들이 제기되고 있다.
FTAP 사업과 연관있는 기관들은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 신축 등이 불가피한데 까다로운 사용승인을 받은 상태에서 예산을 투입하다가 자칫 사용승인이 취소되면 누가 책임지냐"는 우려 섞인 반응을 보였다.
구미시 관계자들도 "국비 등이 투입된 상황에서 일단 사업이 추진되면 사용승인 취소는 힘들지 않겠냐"며 추진하자는 입장과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프로젝트인 만큼 다른 부지를 찾아 안전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등 엇갈린 주장이 맞서고 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