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5년내 세계3위 자전거 국가될 것"

입력 2009-05-04 08:23:36

자전거 타기 문화를 정착시키고 자전거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직접 나섰다.

이명박 대통령은 3일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열린 '제1회 대한민국 자전거 축전'에 참석해 "지금 우리는 자전거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자전거 타기 운동이 전개돼 5년 안에 3대 (생산) 국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4대 강 1차 개발이 완성되는 2011년까지 그 강변을 따라 자전거 도로가 만들어질 것이며, 2020년쯤 가면 전국에 3천㎞의 자전거 도로를 만들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20일 라디오연설에서 자전거를 '녹색성장의 동반자'로 규정한 이 대통령은 경남도청 광장에서 창원시청 앞 광장까지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며 '자전거 전도사'가 됐다. 이 대통령은 "오늘 부로 저도 자전거를 열심히 타도록 하겠다"며 "대한민국 역사 이래 국가적으로 '자전거 탑시다' 하는 운동을 전개키로 한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단순히 대한민국의 행사가 아니고 세계 모든 인류에게 주는 큰 메시지가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보고대회에서 녹색성장위와 행정안전부는 올 상반기 중 16개 지방자치단체 민관 대표를 중심으로 '지방녹색성장협의회'를 구성·운영하는 방안을 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경상북도의 녹색새마을운동을 비롯 대전시의 행복한 하천만들기 사업, 전남도의 나무은행, 서울 강남구의 탄소마일리지 제도 등 각 지자체도 녹색성장 관련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이에 앞서 창원시 컨벤션센터에서 삼천리자전거, 포스코, 만도 등 기업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전거업계 간담회를 열고 자전거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이윤호 장관은 "자전거산업은 친환경 교통수단이자 세계적으로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유망 전략산업"이라며 "녹색성장과 고용 창출을 위해 국내 자전거 산업 기반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경부는 자전거 수요 확대를 위해 프랑스의 '밸리브'와 유사한 한국형 공공자전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자치단체가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들고, 시민에게 표준화된 자전거를 개발해 빌려준다. 자전거 출퇴근 보조금제도, 사내 자전거 보급 장려 방안 등도 병행한다. 자전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자전거 연구개발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자역별로 자전거 생산 거점을 조성한다. 자전거 업계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하이브리드 자전거 및 IT융합 지능형 자전거를 개발하며, 유명 브랜드와 제휴해 고감성 디자인을 갖춘 글로벌 자전거 브랜드를 육성한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