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을 포함한 4대 강 살리기 프로젝트의 윤곽이 발표되면서 대구경북 건설사들이 공사 수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낙동강 정비 사업 본 예산만 7조6천억원에 이르지만 공사 발주 방식에 따라 지역 업체들이 따낼 수 있는 공사 규모와 수주 금액이 큰 차이를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건설업계 관계자들은 "본 공사와 지류 및 부대 사업까지 포함하면 공사 규모가 10조원을 넘을 수 있다. 4대 강 정비 사업 전체 예산의 절반 이상을 낙동강이 차지하고 있어 지역 업체들로서는 놓칠 수 없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9월 착공될 낙동강 정비 사업 총 연장 506㎞를 시도별로 나누어 보면 경북과 대구를 통과하는 구간이 400㎞에 이른다. 낙동강 연장을 공사비로 단순 환산하면 대구경북 구간에 투입되는 비용은 5조원 정도. 지난해 대구경북에서 발주된 공공 부문 공사 금액이 4조원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공사 완료까지 매년 공공 발주 공사가 20~30%씩 늘어나는 셈이다. 지난해 대구에서 발주된 국가기관 사업(국가, 공기업, 교육청)의 지역 업체 수주비율이 28%에 머문 것을 감안하면 5조원 중 지역 업체에 돌아올 금액은 1조5천억원 정도다.
하지만 정부가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무공동사업 대상을 규모(국가 사업 현행 76억원)와 상관없이 모든 공사에 적용하고 지역업체 참여비율도 일반공사는 40% 이상, 턴키와 대안 공사는 20% 이상 확대키로 해 지역 업체 수주 금액은 늘어날 전망이다. 전체 공사 중 40%를 지역업체들이 수주한다면 금액은 2조원으로 늘어난다.
현재 대구시나 경북도는 설계와 시공을 함께하는 일괄발주 방식인 턴키보다는 분할 발주와 지자체 위탁 사업 비율을 높여줄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본류 정비공사는 턴키 발주를 하더라도 공원화 사업 등 부대 시설 공사는 분할 발주나 지자체에서 사업을 시행해야 규모가 적은 지역 업체까지 참여할 수 있고 수주 금액도 많아진다"고 밝혔다.
낙동강 정비 사업의 경우 생태하천 212㎞, 자전거길 539㎞, 저수지 확충 31개소 등 부대 시설 공사가 적지 않은 규모다.
지역업체 수주에 있어 또 다른 변수는 회사 규모나 시공력 등 수주 능력.
건설협회 관계자는 "대구경북지역 내 전국 도급순위 200위 내 업체가 화성산업 등 10여개에 달하고 기술력도 뒤떨어지지 않아 수주에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