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용 경북지사와 김범일 대구시장이 잇따라 송년 기자 간담회를 열고, 지난 일 년의 지방 살림을 돌아보고 내년 한 해 갈 길을 내다봤다. 거기서도 얘기됐듯, 경제 추락으로 지역 분위기가 더 어두워지기는 했으나 그래도 올 일 년간엔 이뤄낸 것 또한 여럿이다. 어렵던 경북도청 이전지 결정에 성공하고 2013년 세계에너지총회를 대구로 유치했다.
내년엔 역내 중앙정부 투자가 근래 드물게 활기를 띨 참이다. 동서6축 고속도가 착공되고, 대구 노후공단 재개발이라는 기대 밖 사업이 얻어졌으며, 낙동강'금호강 물길 공사로 지역에 돈이 돌 가능성도 높아졌다. 지방 자체의 신규 투자도 잇따라 대구도시철도 3호선이 착공되고 세천공단의 건설도 본격화될 예정이다. 거기다 김 지사는 투자유치 10조 원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고, 김 시장은 '뉴딜 인 대구' 등 여러 사업을 공언했다.
하나 내년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서 그 의미가 서로 엇갈리는 한 해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명박 정부엔 새 정책을 펼칠 사실상의 첫 해이지만, 지방정부들엔 실질적으로 4년 임기를 마무리해야 하는 해인 것이다. 내년에 더 밝아질 공공투자 전망도 중앙 정권이 바뀌어 나타난 외래적인 것일 뿐 지방정부들의 내재적 역량에 힘입은 게 아니라는 얘기다.
구호가 난무하고 포장만 그럴듯하게 하는 지방행정은 이제 설득력이 없다. 하도 오래 반복한 일이어서 시민들도 그 허망함을 충분히 안다. 하나의 정책이라도 제대로 여물게 해야지 이것저것 구호처럼 자꾸 내세우곤 나중에 알맹이가 없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지난 2년 6개월은 씨앗을 뿌리는 시기였지만 이제는 과실을 거둘 시기라고 한 김 시장의 말을 주목한다. 무수한 선거공약부터 다시 점검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