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갠 날 가상가상 말려진 움막 지붕 꽃으로 피고 싶은 지붕 마음 할머니는 알아 잘 깎은 둥시감 반 접 곶감 꽃 피게 한다.
곶감을 만들기에는 이즈막의 햇볕과 바람이 좋습니다. 채반이나 소쿠리에 널든 꿰미로 매달든 그것은 어디서나 눈맛 좋은 남도의 풍광이지요.
스레트(슬레이트)를 인 움막 지붕과 한 접도 아닌 반 접의 둥시감. 그것이 결핍의 정서를 자극합니다. 그러면서 현실의 가난을 정서의 풍요로 바꾸어 놓지요. 할머니는 꽃으로 피고 싶은 지붕의 속내를 어찌 아셨을까요. 눈물겹도록 따스한 감빛 서정이 움막 너머 하늘 구만 평을 다 적십니다.
감농사래야 낡은 집 마당 가에 선 두어 그루가 고작일 터. 할머니의 마디 굵은 손이 시나브로 깎아놓은 둥시감 반 접. 그 곶감 꽃. 작고 둥글고, 느리고 소박한 것의 무심이여. 무심이 곧 유심인 것을. 더 갈 데 없는 가을의 유정한 깊이인 것을.
시조시인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