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라는 도시를 미학이라는 창을 통해 조망한 책이다. 미학이라는 학문을 삶의 현장에 적용해 삶의 공간과 그 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미의식, 삶의 총체인 예술문화를 들여다본 보기 드문 책이다.
지은이는 부산의 미(美)를 크게 민중미, 실질미, 저항미, 개방미로 나눌 수 있다고 본다. 민중미는 민속놀이를 비롯해 대중가요, 영화, 불꽃놀이 등 대중문화로 나아갔고, 실질미는 '됐나? 됐다' '니 내 존나' '밥 문나'에서 보듯 거칠지만 박력 있게 나타난다. 저항미는 부마항쟁과 6월 항쟁에서 보여준 기질을 말한다. 이런 기질은 부산의 문학에서 흔히 드러나듯 비주류 예술의 발달로 이어졌다. 개방미는 바다를 낀 국제항구도시의 특징에서 기인한다. 국제항구도시의 기질은 다원문화의 발달을 이끌어냈다. 328쪽, 1만5천원.
조두진기자 earf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