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해소, 청년들이 나섰다

입력 2008-10-16 09:53:25

경북대 총학 등 '청년고용촉진법' 제정 청원운동

금융위기가 고용시장을 얼어붙게하면서 지난달 취업자 증가수가 3년7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국의 취업자는 2천373만4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만2천명(0.5%)이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같은 증가폭은 2005년 2월(8만명) 이후 가장 적다. 정부가 각종 고용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취업자수는 목표치인 20만명의 절반을 겨우 넘는데 그쳤다.

지역의 일자리도 사실상 바닥이 났다. 지난달 대구의 경제활동인구는 117만2천명으로 1년새 1만7천명(-1.5%)이 줄었다. 계명대 경제통상학부 김영철 교수는 "공장을 유치하는 등 수요적 측면에서의 일자리 정책은 더 이상 일자리 창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며 "내륙에 갖힌 지역의 경우 좋은 대학, 연구소 등 지식과 사람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 일자리를 유발하는 공급적 측면의 일자리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고 했다.

일자리 기근이 이어지면서 대구경북지역 청년단체들이 직접 청년실업난 해소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청년센터, 경북청년센터, 경북대총학생회 등 대구경북 청년단체는 16일 오후 1시 경북대 북문 앞에서 '청년실업해소 및 청년고용촉진법' 제정 청원운동 선포식을 가졌다.

이들 단체는 지난 2004년 제정된 공공기관의 신규채용시 청년층을 정원의 3% 채용 권고 등의 내용을 담은 '청년실업해소특별법'이 한시법으로 올해 말로 법의 수명을 다하게 됨에 따라 '청년실업해소 및 청년고용촉진법' 제정을 위한 청원운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 법은 공공기관의 청년의무고용율을 5%로 높이고,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사회인프라 확충 관련 정부의무 명시화, 산·학·관·민 협력 체계 및 범정부차원의 전담기구 신설 등을 담고 있다.

대구청년센터 박석준 사무국장은 "졸업을 하고도 취업을 하지 못하는 청년 백수들의 염원을 담아 청원운동에 나서게 됐다"며 "이달 중 대학캠퍼스를 중심으로 청원운동을 진행하고 청년실업에 적극적인 국회의원과 협의를 거쳐 입법을 추진할 계획"이라 밝혔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