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제발 그대가 내게 입 맞춰 주었으면!*
깃털처럼 가벼이 날아가 그대의 젖가슴에 닿을 수 있다면
스완의 목 같이 늘씬한 그대 허리에 손을 얹고
건반에 뛰노는 손가락이 되어 그대를 연주할 수 있다면
오 하느님, 딱 한번 했으면!
꿈에라도
벌거벗은 이 꿈 들키지 말았으면!
* 성경 '아가'의 첫 구절
아가는 '노래 중의 노래'란 뜻. 「저문 강에 삽을 씻고」란 작품으로 1970년대의 문학적 실천에 앞장섰던 중진시인이 아가를 부른다. 이념과 수사를 말끔히 거둬내고 인간 그 자체에 질문을 던지고 있으니, '벌거벗은' 인간의 순수한 상태가 이토록 솔직하다. 그 어떤 미사여구를 갖다 붙여도 인간은 늙는다는 사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래서일까. 한평생 우리나라 섬이란 섬을 다 찾아다니며 노래를 불렀던 팔순의 노시인도 이런 시를 지었다. "이 세상에 없는 여자를/ 꿈에서 안아 보고 기뻐했다/ 꿈이 시키는 대로 간음하다가/ 사람에게 들키고는/ 밤새 부끄러워 얼굴을 못 들었는데/ 날이 새어 꿈임을 알고 안심했으나/ 그녀가 없는 세상임을 알고는/ 다시 실망했다" ― 이생진 「꿈」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