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실질 GDP 대비 13.7%로 늘어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올 상반기 실질무역 손실이 크게 증가했다.
5일 한국은행 집계에 따르면 2000년을 기준으로 하는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실액'은 지난 상반기 54조9천271억원이었다. 지난 2000년의 교역조건이 유지되지 않고 더 악화함으로써 올 상반기 54조9천억원을 날렸다는 의미다.
실질 무역손실은 상반기 기준으로 2004년 12조634억원, 2005년 20조847억원, 2006년 34조4천381억원, 2007년 37조1천183억원에 이어 올해에는 50조원을 넘어섰다.
더욱이 올 상반기의 경우,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손실규모 증가액이 17조8천88억원으로 그 전해 같은 시기 증가폭인 2조6천802억원의 6.6배나 됐다.
올 상반기 실질 무역손실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3.7%에 이르렀다. 지난해 같은 시기는 9.8%였는데 3.9%포인트나 올라간 것. 이 비율은 2003년 2.9%, 2004년 3.6%, 2005년 5.8%, 2006년 9.5%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실질무역손실 급증은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2005년=100)는 올들어 5월까지 평균 81.9로 지난해 같은 시기(95.0)에 비해 13.8%나 떨어졌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 순상품교역조건지수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실
예를 들어 자동차 1대를 팔아 번 돈으로 지난해에는 95개의 공작기계부품을 수입할 수 있었다면 올해에는 81.9개밖에 수입할 수 없다는 의미. 즉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내려가면 실질 구매력은 약화됨으로써 실제적 무역손실이 일어난다는 의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