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국가공단 공장부지 99만㎡ 방치

입력 2008-07-25 08:42:51

구미국가공단에 휴·폐업 공장이 늘어나면서 공단 용지가 장기간 방치, 공단 슬럼화와 생산 감소 등이 우려되지만 당국이 해법을 찾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구미공단을 관리하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중부지역본부(이하 공단본부)와 구미시에 따르면 2003년부터 섬유 등 한계업종을 중심으로 구미 1·2·3공단에 휴·폐업 공장이 늘어나 18일 현재 놀리는 공장용지가 큰 기업체만 66만여㎡(20여만평)가 넘었고 소규모 공장용지를 합치면 99만㎡(30만평)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폐업 공장용지 상당수는 3만3천㎡(1만평) 단위가 넘는 대규모인데다 경기 부진으로 이들 용지를 통째로 매입할 기업체가 없는 실정이어서 공단 가동·생산율 감소 초래는 물론 일부 공장은 4, 5년간 장기 방치로 외관마저 크게 해치는 실정이다.

대규모 용지를 분할매각하는 방식 또한 부동산전문업체 개입으로 용지값 상승이 우려되는데다 공단이 조각 나 영세·과밀화되는 문제점 때문에 공단본부는 쉽사리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1년 사이 구미 4공단에 새로운 기업 유치가 상당수 있었던 점은 당국이 노는 용지를 먼저 채우지 않고 공단 세 확장에 급급했다는 분석이며, 산업단지를 관리하는 현행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부동산 관련 업체들의 접근을 막고 휴·폐업 공장용지는 기업 실수요자에게 돌아가야 한다는 등 규정이 없는 점 또한 당국이 안이하게 대처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공단본부는 최근 휴·폐업 용지의 분할 방식을 지식경제부에 보고했다.

공단본부 손국익 과장은 "최근 수년간 노는 용지를 통째로 매입할 대기업체가 나서지 않는 상황에서는 부동산전문업체를 배제한 분할매각 방식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또 권기용 창업경영팀장은 "예산 문제가 있지만 당국이 이 용지를 우선 매입해 공영개발하는 방식이 각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구미상공의회소 김종배 조사부장은 "향후 기업 유치시 휴·폐업 용지에 우선 입주하도록 해야 하고 부동산전문업체 개입을 차단, 기업 실수요자에게 용지가 돌아가도록 하는 법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