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낙동강 운하

입력 2008-06-25 07:00:00

이명박 대통령이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데 이어 국토해양부는 대운하사업단을 해체한다고 발표했다.

쇠고기 정국을 수습하기에 대운하를 희생양으로 삼겠다는 뜻인지 지지율이 10%로 떨어진 마당에 대운하를 추진하는 동력을 상실한 탓인지 모르나 촛불집회에서 '정권 퇴진' 구호가 나오면서 서둘러 포기를 선언한 것으로 보인다. 촛불집회에 대응하는 이명박 정부는 너무 나약한 면을 보였다. 초기 대응이 적절치 못했고 결국 끌려다니다가 항복을 해버린 꼴이 되어버렸다.

2008년 5월 1일의 상황은 어떠했는가? 국토해양부는 '대운하반대교수모임'의 공세에 맞서고 영남권 단체장들은 '낙동강 운하 조기추진'을 촉구하며 이를 청와대에 전달했다. 모처럼 운하사업이 본 궤도로 접어들었다고 느껴졌다.

이제 경부 대운하가 물 건너 가고 낙동강 운하 사업만이 남는다 하자. 이에 따른 영남권 지자체의 반응은 어떨까. 먼저 부산은 대운하와 연관된 낙동강 하류에의 대규모 신도시와 물류단지는 탄력을 받아 추진되겠지만 엄격한 의미로 직접 혜택은 적다고 판단할지 모른다. 경남에는 산업의 중심이 마산·창원, 울산 등으로 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낙동강의 수운에 큰 기대를 걸지않을 수 있다.

경북과 대구는 낙동강을 서쪽에 끼고 있으므로 낙동강의 수운에 최대 수혜지역이 된다. 대구·경북이 낙동강 운하의 최대 수혜지역이라면 낙동강 운하사업을 지역의 사업으로 승화시켜 봄 직도 하다.

말도 많고 논란도 많은 '대운하 사업'은 이제 접고, 이를 '한반도 치산치수 사업'으로 개명하고, 굳이 강줄기를 무리하게 연결하여 물길을 개척하려 들지말고 있는 그대로의 강과 산을 준설도 하고 나무도 많이 심고 방둑도 만들고 이 강산 전체를 '늘 푸르고, 물 맑은 강산'으로 바꾸는 일을 도모하기로 한다면 모든 이들로부터 환영받을 일이 아니겠는가.

그 옛날 왜관에 일본의 상선이 드나들었고 고령 개포에 서울로 가는 미곡을 실은 배가 드나들었다. 낙동강을 그때 모습으로 돌릴 수 있다면, 일단 대성공이라 보인다. 독일 라인강의 한 지류인 '넥카'강이 있다. 거기에는 슈투트가르트란 도시가 있고 그곳엔 벤츠 자동차 공장이 있다. 그곳에선 500대의 승용차를 한 바지선에 얹어 북해로 실어내고 있다.

각 나라마다 강을 산업에 활용하는 지혜를 키우고 있다. 지역 나름대로의 타당성 논리를 다듬어보자. 대운하가 물 건너갔다며 실의에 빠져있지를 말자.

오철수 경북대 명예교수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