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시 새 廳舍 신축에 앞서야 할 일들

입력 2008-06-18 10:58:53

김범일 대구시장이 어제 시의회 답변을 통해 앞으로 2년 내 새 시 청사 건립 계획 확정을 공언했다. 안 그래도 부산이 진작에 새 청사를 지어 옮겼고 서울은 신축 절차에 들어가 있는 중이다. 첨단 마천루 청사를 지어 도민들의 자부심을 높인 일본 도쿄 都廳(도청)의 전례도 있다. 대구라고 번듯한 청사를 갖추지 말라는 법은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인구가 그대로인데 어떻게 해서 시청 공무원은 계속 늘어 기존 청사가 좁아 못 쓰게 됐는지부터 설명돼야 한다고 믿는다. 현 청사가 완공되던 1993년의 대구 인구는 231만5천여 명이었고 지금은 251만2천여 명이다. 1995년에 달성군 편입으로 증가한 인구 16만여 명을 제외하면 사실상 정체돼 온 것이다. 뿐만 아니라 대구 인구는 2003년 254만4천여 명을 정점으로 꺾여 3만2천 명이 감소했고, 앞으로 더 심해지리라는 전망이다.

1993년 현 청사를 지어 입주할 때 불과 10년 앞도 내다보지 못한 과실에 대한 사과도 필요하다고 믿는다. 지도부에 그렇게 비전이 없다면 새로 지을 청사의 앞날 역시 신뢰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지역 경제 살리기가 우선이라며 임기 중 새 청사 건립 유보를 천명했던 김 시장이 겨우 2년도 안 돼 태도를 바꾼 이유 또한 석연찮다. 시장 한 사람이 마음을 바꾸기에 따라 이 큰 사업이 이리저리 흔들려도 좋은지 회의적이다.

새 청사 건립 준비에 앞서 그 철학적 토대부터 다져야 한다. 행정조직의 군살을 빼 사무실 난을 해결할 수 있다면 그 일로 갈음하는 게 시민을 위하는 길이기도 하다. 뜬금없이 짓느니 마느니 결론 지으려 들지 말고 시민들 합의부터 구축해 나가는 노력 또한 필요할 것이다.

최신 기사